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수술없이 초음파로 癌 종양만 골라 없앤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KIST 박기주 박사팀, 집속 초음파 기술에서 주변 조직 파괴하는 2차 미세기포 생성 원리 규명

헤럴드경제

고강도 집속초음파 기반 생체조직 파쇄 기술 개념도.[KIST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초음파 에너지를 신체 내 원하는 타깃 위치에 모아 고열을 발생시키면 외과적 수술 없이 조직을 태워 괴사시킬 수 있다. 이 같은 방법은 자궁근종, 전립선비대증, 전립선암, 전이성 골종양 등에서 종양을 열을 이용해 파괴하는 치료 방법으로 임상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고열을 통해 조직을 태우다 보니 열확산 현상에 의해서 종양 주변 조직까지도 태울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바이오닉스연구센터 박기주 박사팀은 기존 초음파 기술보다 수십 배 더 강력한 수십 메가파스칼(MPa)의 음향 압력 세기를 갖는 초음파, 즉 고강도 집속초음파를 이용하면 열에 의한 신체의 손상없이 칼로 자른 듯 종양을 깨끗하게 파괴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그 원리를 밝혀낸 바 있다.

열을 이용하지 않고 물리적으로 조직을 파괴하는 이 기술에서 강력한 초음파를 받은 목표 지점에는 수증기 기포가 생겨나는데, 발생되는 1차 기포의 운동에너지에 의해서 목표한 종양 조직을 물리적으로 파괴할 수 있다. 하지만 목표 지점뿐만이 아니라 그 주변에서도 순차적으로 주변에 2차로 여러 미세 기포들이 동시다발적으로 생성돼 원치 않는 부위까지 파괴될 수 있어 이들의 생성 원인을 파악하고 발생 위치를 정확히 예측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연구팀은 후속연구를 통해 집속초음파를 이용해 종양조직을 제거할 때 생성되는 2차 미세 기포의 발생 원리를 밝히기 위해 수학 모델을 개발하고, 초음파에 의해 생긴 1차 수증기 기포가 초음파 진행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그 결과 수증기 기포에 의해서 전방위로 퍼져나가는 초음파와 지속적으로 입사되는 집속 초음파의 간섭이 그 원인이고 간섭되는 범위에서 2차 기포가 발생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초고속카메라를 이용해 촬영한 결과와 비교했을때 초음파가 간섭되는 범위와 2차 미세기포가 실제 생성되는 위치가 일치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2차 미세 기포가 생성되는 원리를 설명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 범위를 예측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타깃 조직만을 정밀하게 제거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박기주 박사는 “이번 연구는 초음파 초점에서 수증기 기포 발생 후에 초음파 산란효과에 의해서 미세 기포들이 순차적으로 생성된다는 것을 규명한 것으로, 개발된 수학 모델을 이용하면 기포의 발생 위치 및 파괴되는 종양 조직의 범위를 사전에 예측하는 것이 가능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개발하고 있는 초음파 기술이 외과적인 수술 없이 종양조직만의 물리적 파쇄가 가능한 초정밀 집속 초음파 수술 기술로 발전되어 향후 임상에서 적용되길 기대한다”라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성과는 음향 분야 국제학술지 ‘울트라소닉 소노케미스트리’ 최신호에 게재됐다.

nbgkoo@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