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차세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상용화 난제 풀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UNIST·에너지硏 연구진, 불소로 페로브스카이트 전지 수분 취약성 해결

- 세계 최고 수준 24.82% 효율 기록, 내구성 입증

헤럴드경제

불소를 도입해 수분을 흡수하지 않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UNIST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차세대 태양전지로 기대받는 페로브스카이트의 상용화에 걸림돌로 작용했던 수분 취약성과 낮은 효율성을 극복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에너지화학공학과 양창덕 교수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김동석 박사 공동연구팀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광활성층이 수분에 노출되는 것을 막으면서 전지 효율은 높이는 ‘유기 정공수송층 물질’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정공수송층은 광활성층이 빛을 받아 만든 정공(양전하 입자)을 전극으로 나르는 역할을 하는 태양전지 구성층이다. 연구진은 기존 정공수송층의 수소를 불소로 바꿔 성능이 좋으면서도 수분을 흡수하지 않는 정공 수송층 물질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불소 도입’이라는 간단한 방식으로 정공 수송층과 광활성층을 안정화 시켰다. 개발된 정공 수송층 물질은 기존의 우수한 성능은 유지하면서도 기름처럼 물과 섞이지 않는 성질이 강해 수분을 흡수하지 않아 높은 효율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다.

연구진은 개발된 물질을 태양전지 정공수송층으로 사용해 24.82%의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얻었다. 또 수분 안정성이 해결돼 500시간 동안 고습도 환경에서도 87% 이상의 효율을 유지했다. 반면 기존물질을 정공수송층으로 사용하였을 경우 500시간 후 40% 이상의 효율이 감소했다.

특히 공인 인증된 전지의 경우 1.18V의 높은 개방 전압을 보였다. 이는 페로브스카이트 전지가 이론적으로 만드는 전압에 최대로 근접한 수치다. 개방 전압이 높을수록 전력 생산량이 많아지고 태양전지의 효율이 높아진다.

전지제조를 담당한 김동석 박사는 “현재까지 보고된 전압 손실 중에서 가장 낮은 값인 0.3V의 전압손실로 이론치에 근접한 개방 전압을 얻었다”며 “또 전지를 대면적으로 제작해도 효율 감소가 적어 상용화 가능성이 밝다”고 설명했다.

이 물질을 개발한 양창덕 교수는 “효율과 안정성이 높은 유기 정공 수송층 개발 연구는 지난 20년 동안 지속되어 왔지만, 이 두 가지 특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물질을 찾기 어려웠다”며 “그 동안 양립하기 어려웠던 수분안정성과 효율 문제를 불소 원자를 도입하는 방식을 통해 동시에 해결한 매우 획기적인 연구”라고 연구 의의를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9월 25일자 온라인 공개됐다.

nbgkoo@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