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올해 스톡옵션 부여 코스피 상장사…10곳중 7곳, 임원에게만 줬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스톡옵션 명과 암]

"스톡옵션, 임원 책임경영 강화 위한 보완 필요"

박경서 교수 "임원은 우리사주 지급이 더 적합"

이사회 전문성 강화로 스톡옵션 부여과정 감시해야

[이데일리 박정수 유준하 기자] 올해 코스닥에 비해 4배 넘게 스톡옵션 부여규모가 늘어난 코스피 상장사의 경우 임원 위주로 스톡옵션이 지급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회사보다 자기 이익을 우선하기 위해서 경영자가 스스로 스톡옵션을 부여해 도덕적 해이(모럴 해저드)를 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동훈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스톡옵션을 부여한 코스피 상장사 54곳 가운데 37곳(68.5%)은 대표이사를 비롯한 임원에게만 스톡옵션을 부여했다. 직원까지 스톡옵션을 부여한 곳은 17곳(31.48%)에 그쳤다.

이기환 인하대학교 금융투자학과 교수는 “스톡옵션은 주주의 이익과 대리인인 임직원의 이해관계를 동일화시킨다”라며 “스톡옵션 부여로 인한 임직원 근로 의욕 고취로 회사 가치를 끌어올려 주주 이익 또한 늘리는 것이 기본 취지”라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항상 임원에게만 쏠리는 배분의 문제가 따른다”며 “특정 세력에게만 스톡옵션이 부여된다면 형평성에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코스닥 상장사도 마찬가지다. 특히나 코스닥 특례상장 업체 10곳중 9곳이 스톡옵션을 부여했다. 금융감독원이 2015년 1월부터 2019년 상반기까지 코스닥 시장에 특례상장한 58개사를 분석한 결과 51개사가 임직원 총 2240명에게 스톡옵션 3928만주를 부여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중 임원 336명(15.0%)에게 돌아간 스톡옵션이 절반(51.3%· 2009만주)을 넘었다.

스톡옵션 대부분은 상장 전(77.6%) 신주발행 방식(92.5%)으로 부여됐다. 하지만 스톡옵션 행사(1716만주)는 대부분 상장 이후(91.5%)에 집중됐다. 상장 이후 주가가 급등하는 경우가 많아서다.

박경서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는 “100인 미만의 게임사처럼 임원 한 명의 기술이 기업가치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면 스톡옵션을 부여하는 게 맞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대기업의 경우 개인의 역량이 회사 가치를 끌어올린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며 “더구나 경영자가 자기의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서 스스로에게 스톡옵션을 부여하는 것은 도덕적 해이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 연기금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임원 임기와 스톡옵션 행사 기간이 2년 내지 3년으로 겹치다 보니 임기 만료를 앞두고 공격적인 경영을 하는 경우도 흔하다”며 “우리보다 앞서서 경영자에게 스톡옵션을 부여해 왔던 선진국에서도 도덕적 문제를 쉽게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결국 대기업, 특히 상장사의 경우는 임직원에게 스톡옵션보다는 우리사주를 지급하는 게 경영자의 책임경영을 보다 강화해 주주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온다. 임원의 셀프 스톡옵션 부여를 제도 상으로 막아야 한다는 목소리도 제기된다.

박 교수는 “상장사의 경영자에게는 스톡옵션보다는 주주들과 같은 생각을 가질 수 있도록 주식 자체를 주는 게 맞다”며 “이렇게 되면 경영자 입장에서도 주식이 떨어지면 손해이므로 결국 경영자는 주주들의 목적인 주주가치 극대화에 힘쓰게 될 것”이라고 판단했다.

한편에서는 스톡옵션을 부여하더라도 적정가치에 행사할 수 있도록 이사회 전문성을 강화할 필요도 있다고 지적한다.

한 연기금 CIO는 “스톡옵션 부여 과정에서 이사회가 통제하지 않으면 경영자가 자신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부여하고 시점을 맞출 수 있다”며 “경영자보다 기업 속내를 잘 알고 금융 전문성까지 갖춘 사외이사를 선임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