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탈일본 1년.. 韓 소·부·장 특허만 1250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탈일본 1년.. 출연연의 '마부위침' 살펴보니

R&D 667개 추진, 특허 출원·등록 1250건

소·부·장 전략, 탈일본에서 포스트 코로나로 전환해야

아시아경제

KRISS 연구실. (기사와는 무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황준호 기자] 마부위침(磨斧爲針).


국가과학기술연구회가 지난해 7월 일본 정부가 우리나라에 수출 규제를 가한 후, 우리나라의 소재·부품·장비 산업 경쟁력 확보에 총력을 기울인 1년간의 성과보고서를 30일 내면서 단 제목이다. 도끼를 갈아서 바늘을 만든다는 말으로,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노력하면 반드시 이룰 수 있다는 뜻이다. 그간의 어려움을 엿볼 수 있으면서도, 향후 일본에 대한 기술자립화를 반드시 이루겠다는 굳센 결의가 묻어나는 단어다.


특허만 1250개

아시아경제

국내 소부장 산업 대외 의존 상위 5개국 비율(2019년 기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출연연은 일본 수출 규제 이후 677건의 연구개발(R&D) 사업을 추진했다. 1조원이 투입돼 화학연, 생기원, 재료연 등 15개 출연연이 R&D 사업을 펼쳤다. 지난해 일본이 우리나라를 안보 우방국가에서 빼면서, 그들의 전략물자 리스트에 있는 1194개 감시품목에 대한 개별 허가를 받도록 한 것에 대한 대응이었다.


우리나라는 소·부·장 기술자립화에 총력을 기울였고, 그 선봉에는 출연연이 섰다. 소·부·장 기술력 확보를 위한 기초화학, 기계·금속, 전기·전자 등 분야의 연구가 주(524개)를 이뤘다.


1년이 지난 현재 이 R&D로 특허를 출원(720건)하고 등록(530건)한 건만 1250건에 달한다. 기술이전 건수는 292건 정도다. 이중 10건을 제외한 나머지 건수는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으로 이전됐다. 개별기업의 R&D를 지원하는 기술지원 사업도 7842개 기업에 7562건이 추진됐다.


탈일본에서 포스트코로나로

아시아경제

일본 수출 규제 이후 출연연 특허 출원 및 등록 현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개별 연구기관 별로도 눈에 띄는 기술력을 확보했다. 한국기계연구원은 고정밀 핵심 기계류 부품 가공용 절삭 가공장비인 지그센터를 개발했다. 전량 일본 수입하던 제품이다. 기계연은 두산공작기계와의 공동으로 핵심 기술을 개발하고 시제품까지 만들었다. 연구원은 실증 종료 3년 후 연간 100억원 규모 매출이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한국전기연구원은 은 기반 도전성 금속잉크를 대체할 구리·그래핀 복합잉크를 세계최초로 개발했다. 정밀 부품용 고품질 은 잉크의 높은 대일 의존도를 탈피하기 위한 제품이다. 가격은 은 잉크의 10분의 1수준이지만 은과 유사한 전기전도성을 갖춘 제품이다. 올해 내수시장에서 수입품을 대체해 차지할 점유율 목표를 3%로 잡고 있으며 2025년에는 36%까지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화학연구원은 대일본 수입 비중이 31%에 달하는 이소불화비닐(PVDF)을 국산화 했다. 국내에서는 없던 기술로, 화학연과 중소기업이 협력해 PVDF와 VDF 단량체를 생산하는 기술을 확보했다.


연구회 측은 "보호무역주의의 팽창,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국제 산업환경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신속하면서도 신중한 제도 조정이 필요하다"라며 "지난해 일본 수출 규제 대응 중심에서 포스트 코로나 이후 '글로벌 가치 사슬(GVC)' 붕괴를 고려한 소·부·장 품목 조정이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황준호 기자 rephwan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