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어디서 스미싱 냄새 안나요?"…이런 문자, 절대 누르지 마세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박광범 기자]
머니투데이

자료=금융감독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추석연휴 소소하지만 가족과 함께 드실 수 있는 모바일 쿠폰을 보내드렸습니다."

"[긴급재난자금]상품권이 도착했습니다. 확인해주세요."

'뭐지?' 하는 호기심에 이같은 문자 속 링크(인터넷주소·URL)를 무심코 눌렀다간 낭패를 볼 수 있다. 추석 연휴를 맞아 코로나19(COVID-19) 관련 긴급재난지원금 안내, 추석 인사, 택배 안내 등을 사칭한 스미싱·보이스피싱이 증가하고 있어서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8월까지 스미싱 탐지 건수는 70만783건으로 지난해보다 378% 급증했다. 특히 올해는 코로나19 관련 긴급재난지원금을 사칭한 스미싱도 1만753건이나 등장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스미싱(smishing)은 문자메시지(SMS)와 피싱(Phishing)의 합성어다. 악성 앱 주소가 포함된 휴대전화 문자를 대량 전송한 후 이용자가 악성 앱을 설치하거나 전화를 하도록 유도해 금융정보나 개인정보 등을 빼간다. 보이스피싱, 전자상거래 사기 등 다양한 금융사기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금융사기 범죄는 나날이 방식이 세밀화하고 있다. 위 사례처럼 코로나19 긴급재난지원금을 빙자하거나 생계에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자영업자를 대상으로 저금리 대출을 권하는 경우도 빈번하다. 택배 주소정보가 맞지 않다며 주소 변경을 요청하는 등의 금융사기 수법도 있다.

문자에 링크가 포함돼있다면 일단 의심을 해야 한다. 애초에 링크가 걸려있는 문자는 확인하지 않는 편이 좋다. 코로나19 긴급재난지원금 문자 등 대다수의 제대로 된 안내 문자는 링크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이다. 자칫 링크를 눌렀다간 개인정보와 금융정보가 빠져나갈 수 있다.

최근엔 대면형 보이스피싱 범죄도 늘고 있다. 채권추심회사로 위장하고 대출이나 취업이 어려운 사람들을 노리거나 검찰이나 금감원 직원을 사칭하는 경우다. 아들이나 딸 등 가족을 사칭하며 신분증을 사진으로 찍어 보내 달라고 할 때도 주의를 해야 한다. 신분증이 확보되면 불법 대포폰을 개통한 뒤 비대면 방식으로 은행계좌를 개설해 대출을 받는 사기도 발생할 수 있어서다.

스미싱과 보이스피싱 등 금융사기는 '피해 회복이 매우 어렵다'는 점에서 사전 예방이 중요하다.

정부는 사전 예방을 위해 택배 조회나 명절 인사, 모바일 상품권·승차권·공연예매권 증정 등의 문자 속 출처가 확인되지 않은 링크를 클릭하지 않을 것을 당부한다. 또 알 수 없는 출처의 앱이 함부로 설치되지 않도록 스마트폰의 보안설정을 강화하고, 앱 다운로드시 출처가 불분명한 URL에서 다운로드 받지 않고 공인된 앱마켓을 통해 다운로드와 앱을 설치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아울러 △이동통신사 등에서 제공하는 백신프로그램을 설치해 업데이트와 실시간 감시상태 유지 △보안강화와 업데이트 명목으로 개인정보·금융정보를 요구하는 경우 절대 입력하거나 알려주지 않을 것 △긴급재난지원금 안내 문자에는 URL 링크가 포함되지 않으므로 문자내용에 인터넷주소를 클릭하지 않고 즉시 삭제할 것 등을 주문했다.

정부도 관계부처 간 협업을 통해 스미싱, 보이스피싱 등 금융사기 피해 방지를 위한 예방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추석 연휴기간 동안 스미싱 유포 등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24시간 모니터링을 실시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 이통3사(SKT, KT, LGU+)와 협력해 각 통신사 명의로 '스미싱 피해예방 문자'를 순차 발송할 계획이다. 경찰청은 스미싱 피해 예방을 위해 경찰청 홈페이지와 사이버범죄 예방 앱인 `사이버캅`을 통해 피해 예방 수칙과 피해 경보 등을 제공한다.

정부는 스미싱 피해가 의심된다면 금융기관 콜센터에 전화하거나 스마트폰에서 악성코드 apk 파일을 삭제하는 등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금융·증권사에서 발급 받은 공인인증서도 즉시 폐기해야 한다.

자세한 상담은 한국인터넷진흥원 118 상담센터(국번없이 118)에서 받을 수 있다.

박광범 기자 socool@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