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추석에 고 김홍영 검사실 찾은 추미애 "검찰개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더팩트

추미애 법무부 장관은 추석인 1일 고 김홍영 검사의 마지막 근무지인 서울남부지검 검사실을 찾아 "검찰개혁은 법과 제도에 이어 문화와 사람의 개혁에 이르러야 완성될 것"이라고 밝혔다. 추 장관이 고 김홍영 검사의 사진을 보는 모습. /추미애 장관 페이스북 갈무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국 전 장관 "'추풍'(秋風)에 모두 날라가 버릴 것"

[더팩트ㅣ이철영 기자]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추석날인 1일 고 김홍영 검사의 마지막 근무지인 서울남부지검 검사실을 찾아 "검찰개혁은 법과 제도에 이어 문화와 사람의 개혁에 이르러야 완성될 것"이라고 다짐했다.

추 장관은 이날 SNS에 "한가위 연휴 첫날, 고 김홍영 검사가 마지막 근무했던 서울남부지검 검사실을 찾았다. 한적한 청사 안, 초가을 한자락 볕을 타고 내려온 그의 숨결이 느껴진다. 노란 국화꽃 위로 잠시나마 머물며 작은 위안과 안식이나마 얻기를 두 손 모아 기원해 본다"고 밝혔다.

그는 "영정 사진을 대신해 동고동락했던 동료 수사관들과 함께 찍은 사진이 눈에 띄었다"며 "해맑게 웃으며 파이팅을 외치는 김 검사의 모습이 괜스레 안타까워 저도 모르게 한참을 보고 또 보다가 절로 눈시울이 붉어진다"고 했다.

그러면서 "거대한 조직문화에서 한 젊은 신임 검사가 감당해야 했을 분노와 좌절, 중압감과 무력감, 그리고 점점 더 희미해져 가는 정의로운 세상에 대한 터질듯한 갈망이 오늘을 살고 있는 제게도 숨 막히듯 그대로 전해져 온다"고 덧붙였다.

추 장관은 고 김홍영 검사를 추모하며 검찰의 조직문화를 비판하며 검찰개혁을 강조했다.

그는 "검찰의 권력화가 빚은 비뚤어진 조직문화에 대한 구성원들의 대참회와 인식과 태도에 있어 대전환이 없다면 제2, 제3의 김홍영 비극은 계속될 것"이라며 "검찰총장을 정점으로 형성된 상명하복식 검사동일체 원칙은 지난 70여 년간 검찰의 조직문화를 지배했지만, 오히려 검찰 조직의 건강성을 해치고 국민의 신뢰만 상실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정권은 검찰총장만 틀어쥐면 얼마든지 검찰을 통치 수단으로 악용할 수 있었고, 검찰은 그 대가로 무소불위 권한을 누리며 이 정권에서 저 정권으로 갈아타기 하며 비굴한 권세를 유지해 왔던 어두운 시절도 있었다"고 덧붙였다.

더팩트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은 추 장관의 SNS 내용과 함께 "개혁을 막는 여러 장애물은 '추풍'(秋風)에 모두 날라가 버릴 것이라 믿습니다"라고 강조했다.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공판에 출석하기에 앞서 취재진의 질의에 답하는 조 전 장관. /이동률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추 장관은 "심지어 일부 정치검찰은 정권 혹은 언론 권력과 결탁해 주요 사건을 조작, 은폐, 과장하며 혹세무민하기를 주저하지 않았다. 참으로 국민께 부끄럽고 송구한 일"이라며 "검사 개개인이 상관의 부당한 지시와 억압에서 벗어나 법률전문가로서 정의를 수호하고 국민의 인권을 옹호하는 사명을 다할 수 있도록 바꾸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추 장관은 "그때까지 우리는 고 김홍영 검사의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기억하겠다"면서 "1년 전, 조국 전 장관께서 고 김홍영 검사의 아버님께 약속드렸던 작은 명패를 조만간 준비하여 부산에 계신 아버님을 모시고 소박하게나마 그 약속을 지켜드리고자 한다. 유족분들께 한가위 작은 위안이 되기를 바라며 거듭 위로의 마음을 전한다"고 밝혔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은 추 장관의 SNS 내용과 함께 "제가 지키지 못한 약속을 대신 실행해주시는 추미애 장관님, 대단히 감사합니다. 고 김홍영 검사와 유족들도 무척 기뻐할 것"이라며 "제 마음의 빚도 덜었습니다. 이를 계기로 검찰의 조직문화가 바뀌기를 기대합니다. 그리고 추 장관님께서 추진하고 계신 법무 검찰 개혁을 시민의 한 사람으로 응원하며, 빠른 시간 내에 성공적으로 마무리되길 소망합니다. 개혁을 막는 여러 장애물은 '추풍'(秋風)에 모두 날라가 버릴 것이라 믿습니다"라고 추 장관을 응원했다.

cuba20@tf.co.kr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