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TF프리즘] '범현대가'만 로고 통일 안 하는 까닭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더팩트

범(凡)현대가(家)의 로고에 통일성이 없는 까닭은 무엇일까. 사진은 서울 종로구 율곡로 소재 현대건설 전경 /더팩트 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형제의 난' 영향?…'정주영' 대표 이미지는 굳건

[더팩트|윤정원 기자] 삼성, SK, LG, 롯데, 포스코, 한화, GS 등 대한민국 굴지의 그룹을 말했을 때는 머릿속에 떠오르는 일관된 이미지가 있다. 하지만 '현대'를 이야기하면 초록빛 산 모양과 원 안에 그려진 영문 이니셜 H 등 여러 이미지가 떠오른다. 대개 로고를 통일하는 그룹과 달리 범(凡)현대가(家)의 경우 로고만 봐서는 그룹 및 계열사 간 연결고리를 찾기 어렵다. 그 까닭은 무엇일까.

국내 그룹들의 경우 가족 간 경영권이 대물림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명실상부 국내 1위 그룹으로 일컬어지는 삼성을 예로 들자면, 우선 삼성그룹의 계보는 고(故) 이병철 초대회장으로부터 비롯된다. 이병철 회장은 삼남인 이건희 회장을 후계자로 낙점했고, 이어 이건희 회장의 장남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삼성그룹을 이끌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삼성그룹 계열사 가운데 사명에 '삼성'이 들어가는 삼성전자, 삼성생명, 삼성물산, 삼성화재, 삼성SDS, 삼성 SDI, 삼성전기, 삼성엔지니어링, 삼성중공업, 삼성증권, 삼성카드 등은 모두 삼성 로고를 달고 있다. 삼성이라는 이름 하에 똘똘 뭉쳐 있다. 에스원의 경우에는 사명에 삼성이라는 단어 자체를 쓰지 않음에도 로고는 여타 계열사들과 동일하다.

이병철 회장의 장남인 고(故) 이맹희 회장과 차남인 고(故) 이창희 회장, 장녀인 고(故) 이인희 회장, 5녀인 이명희 회장 등이 각각 CJ그룹, 새한그룹, 한솔그룹, 신세계그룹 등의 경영을 맡았으나 이 그룹들은 모두 삼성과의 분리를 대대적으로 선언, '삼성'의 이름을 함께 쓰지 않고 별개의 그룹으로 선 상태다.

더팩트

현대그룹, 현대자동차그룹, 현대백화점그룹, 현대해상화재보험그룹 등은 사명에만 '현대'가 담겼을뿐 모두 다른 로고를 쓴다. /각 사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반면 '현대'라는 이름을 사명에 활용하는 그룹들은 모두 제각각의 로고를 사용하고 있다. 현대그룹 내 분리계열에서 촉발한 것으로 추측된다. 고(故) 정주영 현대그룹 창업주의 진두지휘 하에 한때 재계 1위 자리에 섰던 현대가가 쪼개지게 된 것은 이른바 '왕자의 난' 때문이다.

지난 2000년 3월 '왕회장' 정주영 창업주의 두 아들인 정몽구 회장과 고(故) 정몽헌 회장의 정면충돌은 현대그룹에 있어서는 매우 중대한 사건이었다. 당시 정주영 회장은 5남인 정몽헌 회장을 후계자로 지목했지만 이에 차남인 정몽구 회장은 크게 반발했다. 정몽구 회장은 같은 해 9월 자동차 관련 계열사들을 가지고 현대그룹으로부터 계열분리를 실시해 현대자동차그룹을 만들었다.

당시에는 현대그룹 내에서 현대건설과 현대전자의 입지에 비해 현대자동차의 위상이 높지 않았다. 이 때문에 당시 정몽헌 회장이 왕자의 난의 승자로 일컬어졌으나 향후 현대건설은 부도를 맞고 2001년 8월 채권단에 넘어갔고, 현대전자 또한 반도체 불황을 이기지 못하고 끝내 채권단에 넘어간 뒤 2012년 SK그룹에 편입됐다. 현(現) SK하이닉스의 모태가 현대전자인 셈이다.

반면 정몽구 회장의 현대자동차그룹은 승승장구를 이어오며 현재까지도 재계 2위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2010년 현대건설이 매물로 나왔을 당시에도 현대그룹과 현대자동차그룹은 그야말로 피 튀는 혈전을 벌였는데, 이때 현대건설은 결국 현대자동차그룹 품 안에 들어가게 됐다. 현대건설 인수로 인해 현대자동차그룹은 정주영 시절 현대그룹의 정통을 이었다는 평가를 받게 됐다. 최종적인 승자가 된 셈이다.

더팩트

삼성, SK, LG, 롯데, 포스코, 한화, GS 등 다수의 국내 그룹들은 통일된 로고를 이용하고 있다. /각 사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왕자의 난과 현대건설 인수전 등을 거치면서 현대그룹은 현재의 현대그룹과 현대자동차그룹, 현대중공업그룹, 현대백화점그룹, 현대해상화재보험그룹, 현대미래로그룹, HDC그룹 등으로 뿔뿔이 흩어지기 시작했다. 현대라는 이름은 유지하고 있으나 각 사의 로고는 각양각색이다. 하지만 업계 안팎에서는 범현대가의 로고는 모두 다르더라도 '정주영'이라는 하나의 통일된 이미지는 있다는 반응이다.

재계 한 관계자는 "CI로 대표되는 이미지는 서로 다른 업역을 영위하는 그룹 계열사들 사이에 일종의 통일감 내지 일체감을 부여하는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해봤어?'라는 말로 대변되는 실무와 현장 중심의 현대 DNA에는 그림 이미지보다 더 각인되는 정주영이라는 인물이 있다"고 말했다. 현대그룹 관계자는 "과거 형제간 다양한 일들이 있지 않았나. 그룹이 분리되면서 사업에 따라 자체 브랜딩의 필요성이 대두한 탓이지, 로고 차별화에 대한 특별한 이유는 없다"고 답변했다.

garden@tf.co.kr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