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코로나로 일자리 72만개 증발...추가 10만개 사라질 수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코로나 충격으로 지난 9월 국내에서 일자리 82만개가 사라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2~9월 8개월 평균으로는 72만개가 사라졌다. 고용유발 효과가 큰 제조업과 지식산업에서도 일자리가 빠르게 사라지고 있어 그 여파가 오래갈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됐다.

이종관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21일 낸 ‘코로나19 로 인한 고용충격의 양상과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에서 코로나로 인해 사라진 일자리가 3월 91만5000개, 9월 82만6000개 등 2~9월 평균 72만개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과거 취업자수 증감 추이와 올해 실제 취업자수 증감 추이를 대조해 코로나의 영향을 추정한 것이다.

조선일보

KDI/ 코로나가 일자리에 미친 영향 분석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보고서는 일자리를 교역산업과 지역서비스업으로 나눠 분석했다. 교역산업은 첨단 제조업, 과학·기술 서비스업, 농림어업, 전통 제조업 등 교역이 가능한 상품 및 서비스를 생산하는 부문이고, 지역서비스업은 도소매업, 숙박·음식점업 등 지역 내에서 주로 소비되는 산업을 뜻한다. 지역서비스업은 지난해 4분기 기준 전체 일자리의 71%를 차지하지만, 교역산업에서 일자리와 소득이 늘어야 지역서비스업의 일자리도 늘어난다.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로 인해 지금까지 사라진 일자리 대부분은 지역서비스 일자리이지만, 전세계 코로나 확산세가 잡히지 않으면서 교역산업에서도 일자리 감소세가 빨라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4월 감소한 전체 일자리 108만4000개 중 교역산업 일자리는 10만4000개로 9.6%였으나, 9월 감소한 일자리 82만6000개 중 교역산업 일자리는 19만1000개로 23%에 달했다.

보고서는 제조업에서 9월까지 약 16만개의 일자리가 사라진 것으로 추정하고, 이 충격이 파급되면 향후 10년간 서비스업 일자리 약 16만개가 관련 제조업 지역에서 사라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따라서 정부의 일자리 대책도 고용 유발효과가 큰 교역산업에 집중하고, 지역일자리 사업은 취약계층 보호에 초점을 맞추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 보고서의 결론이다. 이 연구위원은 “현재 추진 중인 한국판 뉴딜도 산업 전반의 경쟁력 제고를 목표로 고용승수 효과를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최규민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