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초일류 만들고 간 아버지…'이재용 삼성'의 숙제 셋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심재현 기자]
머니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오늘날 글로벌 삼성은 33년 전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취임사에서 밝힌 세계적인 초일류기업의 비전에서 출발했다. 앞으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발표할 취임사에 어떤 내용이 담길지 기대할 수밖에 없는 이유가 바로 여기 있다."

27일 만난 재계 인사는 삼성의 이재용 시대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재계에서는 이 부회장이 늦어도 내년 초에는 회장에 취임할 것으로 본다. 이 부회장이 이때 꺼내들 '포스트 이건희' 시대의 비전이 새로운 삼성의 방향타가 될 것이라는 얘기다.

이 부회장이 그동안 내놨던 발표를 살피면 어느 정도 윤곽이 잡힌다. 이 부회장은 2018년 8월 인공지능(AI), 5G(5세대 이동통신), 바이오, 반도체 중심의 전장(자동차 전자장비) 부품을 4대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겠다고 발표했다. 이건희 회장이 쓰러진 뒤 이 부회장 주도로 2014년 말과 2015년 잇따라 석유·방산, 화학사업을 매각했던 점을 떠올리면 주력분야와 차세대 동력에 대한 '선택과 집중' 전략에 더 무게가 실릴 것으로 보인다.

머니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는 차원에서 한동안 끊겼던 글로벌 M&A(인수합병)를 재개할 가능성도 크다. 주요 계열사인 삼성전자가 반도체 부문에서 대규모 투자를 지속하고 있지만 최근 들어 과거 삼성전자를 세계 1위로 끌어올린 특유의 경영 DNA가 제대로 발휘되지 않고 있다는 얘기가 심심찮게 나왔다.

삼성전자의 글로벌 경쟁사로 꼽히는 애플,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이 4차 산업혁명 본격화에 맞춰 핵심 M&A로 성장동력을 강화하는 가운데 삼성전자는 '골든타임'을 흘려보내고 있다는 지적이다. 일각에서는 이 과정에서 이 부회장이 책임경영을 다시 강화하는 차원에서 회장 승진과 함께 등기이사 복귀를 추진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 부회장을 포함해 총수 일가가 당장 풀어야 할 숙제는 지분 상속이다. 이건희 회장이 생전 보유했던 삼성 계열사 지분만 시가로 18조원 규모다. 현행 상속세법을 따르면 상속세가 10조원을 훌쩍 넘을 전망이다. 상속 과정에서 일정 부분 그룹 지배구조 변화가 불가피하다는 얘기가 나오는 이유다.

머니투데이

삼성 내부적으로 이미 수많은 시나리오를 검토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이 부회장이 올 5월 대국민사과에서 자녀들에게 경영권을 물려주지 않겠다"고 선언한 점을 감안하면 삼성물산 등이 이 회장의 지분을 대신 증여받을 가능성도 거론된다.

사법 리스크는 이 부회장 개인뿐 아니라 그룹 경영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막대하다는 점에서 가장 불확실성이 큰 숙제로 지적된다. 이 부회장은 국정농단 사건이 촉발된 2016년 말부터 수년째 검찰 수사와 재판을 받으면서 완전한 리더십을 발휘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평을 듣는다.

이달 들어서도 지난 26일부터 국정농단 사건의 파기환송심이 재개되면서 보름에 한번꼴로 법정에 출두해야 한다. 삼성바이오로직스 관련 재판도 내년 1월14일 2차 공판이 예정돼 있다. 파기환송심 재판부는 올해 안에 결심을 마무리하고 내년 초 선고 공판을 열 계획이다.

머니투데이

사법 리스크와 관련해 준법 경영의 기틀을 확립해야 하는 과제도 만만찮다. 이 부회장은 올 5월 대국민 사과에서 '무노조 경영'을 공식 폐기하고 승계 과정에서 불거진 불법성 논란에 대해서도 "더는 논란이 생기지 않도록 하겠다"고 공언했다. 이 부회장 시대 삼성은 법을 뛰어넘는 행위에 대해 '무관용 원칙'으로 대응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그룹 고위 임원은 "국정농단 사건 같은 일이 재발하는 것을 원칙적으로 막겠다는 것이 이 부회장의 의지"라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심재현 기자 urme@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