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관용헬기 10%만 국산인데…또 러시아산 도입 '우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불 꺼진 항공제조산업]③

러시아, 자국 헬기 차관 현물상환 추진

외산헬기 도입 가능성에 국내 부품업계 ‘반발’

관용헬기 국산화 10% 불과, 생태계 활성화 필요

업계 “정책적 측면서 국산 발주 확대 필요”

이데일리

2018년 제주소방안전본부에 납품된 국산 첫 소방헬기 ‘한라매’(수리온 기반) (사진=한국항공우주산업)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김정유 기자] 코로나19 장기화로 고사위기에 빠진 항공제조업계는 국내 항공산업 생태계를 위해 국산헬기 발주 확대 필요성을 거듭 주장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047810)산업(KAI)이 개발한 국산헬기 ‘수리온’ 발주가 조금씩 늘고 있긴 하지만 여전히 러시아, 프랑스, 미국 등 외산 헬기의 벽을 넘지 못하고 있어서다. 국내 항공제조 생태계 활성화 측면에서 정책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러시아는 1991년 한국이 30억 달러 규모로 지원했던 차관에 대한 미상환금액을 헬기로 현물 상환하는 방식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잔여 차관액은 6800억원 수준으로 러시아가 현물 상황 추진 중인 헬기는 ‘KA-32A11M’ 모델 26대~30대 규모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러시아 KA-32 계열 헬기는 산림청에서 이미 29대나 도입해 운용하고 있는 제품이다.

만약 정부가 KA-32 계열 제품을 현물 상환받게 되면 러시아는 향후 수리부속, 정비지원 등을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게 된다. 항공부품업계 관계자는 “이번에 현물 상환 모델로 거론되는 ‘KA-32A11M’은 47년 전 개발된 KA-32에 일부 성능개량만 진행한 제품으로 기능적 측면에서 많이 떨어진다”며 “자칫 차관상환 명분 아래 국민의 혈세가 러시아의 헬기 기술개발과 시장 확장에 쓰이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지적했다.

특히 코로나19 확산에 최근 고사 위기에 빠진 국내 항공부품 중소기업들의 반발이 거세다. 당장 국내 항공제조·부품 생태계를 살리기 위해 국산헬기 물량을 늘려야하는 상황인데, 러시아산 헬기를 도입하게 되면 국내 업체들에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아서다. 국내 발주의 경우 외국업체 수주와 달리 계약 즉시 부품 협력사들에게 물량이 배분돼 당장 일감 확보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국내 경찰·해경·산림·소방 분야 관용헬기 운영 현황을 보면 국산헬기 비중은 10% 수준에 불과하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재 총 121대 운영 중인 국내 관용헬기는 △러시아산(45대) △미국산(27대) △프랑스산(18대) △이탈리아산(13대) △한국산(12대) △일본산(6대) 순이다. 군으로 시선을 확장하면 국산화율은 더 떨어진다. 국내 항공제조업계는 당장 글로벌 메이저 업체들의 헬기보다 성능면에서 뛰어나지 않더라도 항공제조산업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감안, 국산화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주장이다. 사천부품업계 한 관계자는 “최근 관용·군용헬기를 ‘수리온’으로 통일시켜달라고 군 장성들 앞에서 눈물의 호소를 한적 있다”며 “방산 국산화는 이제 시작단계인만큼 성능적 측면에서 단순히 비교하지 말고, 국내 항공산업 생태계 활성화라는 정책적 의미를 더해 국산 발주를 많이 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동훈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