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개성공단에서 인파와 차량 등 활발한 움직임 포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개성공단의 한 공장부지를 촬영한 지난달 25일자 위성사진. 직사각형 모양의 물체(원 안)와 주변에 사람들이 보인다. 사진 Google Earth, Maxar Technologies, VOA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폐쇄된 북한 개성공단에서 인파가 포착되고, 자재로 보이는 물체가 놓인 모습이 보이는 등 최근 활발한 움직임이 포착됐다고 미국의소리(VOA) 방송이 27일(현지시간) 전했다. 과거 일부 건물에서 제한적인 활동이 감지된 적은 있지만, 이번처럼 공단 내 여러 곳에서 다양한 움직임이 포착된 건 공단 가동 중단 이후 처음이다.

VOA는 위성사진 서비스 ‘구글어스’를 통해 지난달 25일 ‘맥사 테크놀로지’가 개성공단 일대를 촬영한 위성사진을 분석한 결과 공단 곳곳에서 인원과 각종 자재, 차량 움직임이 확인됐다고 했다.

당시 위성사진에서 인원이나 물체가 발견된 건물 공터만 최소 12곳이다. 이들 물체는 10월8일과 전달인 9월에 촬영된 위성사진에선 발견되지 않은 것들이다.

또 일부 공터에는 물체가 줄지어 바닥에 놓여 있거나 5∼7명의 인원이 물체를 둘러싸고 있는 모습이 확인됐다. 공단 출입구 부근에서는 사람과 차량들이 포착됐다.

또한 위성사진에선 북한 개성 방면인 서쪽 출입구의 바깥과 안쪽에 모두 인파가 있었다. 또 출입구 인근 개성공단 안쪽 도로에는 이전 위성사진에서 볼 수 없던 파란색 차량도 존재했다.

중앙일보

지난달 8일 개성공단의 북측 출입문을 촬영한 위성사진. 20명 정도의 사람들(원 안)이 개성시내 방향으로 나가고 있다. 사진 Google Earth, Maxar Technologies, VOA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와는 별도로 지난달 8일자 위성사진에선 약 20명의 인원이 개성공단 안쪽에서 바깥으로 나가는 문을 향해 걸어가는 모습도 포착됐다. 반대로 남측 쪽으로 나 있는 동쪽 출입구에선 지난달 25일 모래 더미가 쌓여 있는 등 새로운 움직임이 확인됐다.

남측 쪽 출입구는 지난 8일자 위성사진에선 공단 안쪽으로 점 형태의 물체 수 백 개가 5개 직사각형 형태(가로 20m, 세로 30m)로 정돈돼 바닥에 놓여 있었다. 또 비슷한 물체들이 출입구 바로 옆에 위치한 군 부대 연병장 추정 터에서도 발견됐는데 버스 1대와 군용으로 보이는 차량 3대도 이 곳에 함께 있었다.

중앙일보

개성공단 남측 출입문을 촬영한 지난달 8일자 위성사진. 출입문 안쪽으로 여러 물체로 이뤄진 직사각형 대열이 확인되며, 아래쪽 연병장에도 비슷한 물체와 함께 버스 등 차량이 보인다. 사진 Google Earth, Maxar Technologies, VOA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1월에도 이처럼 개성공단 내 물체가 사라지거나 형태가 이어졌다.

위성사진 분석가인 닉 한센 미 스탠포드대 안보협력센터 객원연구원은 이날 VOA에 개성공단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사실에 동의하며 “이 물체가 정확히 어떤 것인지 알 수 없다면서도, 곡물일 가능성이 있다”라고 말했다. 북한은 최근 대대적으로 가을걷이 작업을 진행한 바 있다.

개성공단은 남북교류 활성화를 목적으로 지난 2005년 첫 가동을 시작했으며, 이후 120여 개 한국 기업체가 입주해 최대 5만 명에 이르는 북측 근로자를 고용해 운영돼 왔다. 그러나 2016년 2월 한국 정부는 북한의 핵과 장거리 미사일 시험 등을 이유로 공단 가동 중단을 결정했고, 이후 북한이 공단 폐쇄를 선언하면서 현재까지 약 5년 가까이 폐쇄된 상태로 남아 있다.

이후 북한은 올해 6월 대북 전단(삐라) 살포를 이유로 개성공단 내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청사를 폭파시켰으며, 인근 개성공단지원센터까지 훼손된 상황이다.

배재성 기자 hongdoya@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