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19 (화)

바다사자 '강치', 울릉도에도 살았다…유전자 분석으로 규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울릉도 가재굴 속 뼈 20점, 국제유전자은행 바다사자 유전자와 약 99% 일치

연합뉴스

독도 바다사자 강치 이미지
(서울=연합뉴스) 일제강점기에 일본인의 남획으로 멸종됐던 독도 바다사자(강치)가 울릉도에도 살았던 사실이 유전자 분석으로 밝혀졌다. 해양수산부는 울릉도에서 발굴한 기각류 추정 뼈가 멸종된 강치의 것임을 확인했다고 29일 밝혔다. 사진은 강치 이미지 2020.11.29.[해양수산부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오예진 기자 = 일제강점기에 일본인의 남획으로 멸종됐던 독도 바다사자(강치)가 울릉도에도 살았던 사실이 유전자 분석으로 밝혀졌다.

해양수산부는 울릉도에서 발굴한 기각류 추정 뼈가 멸종된 강치의 것임을 확인했다고 29일 밝혔다.

기각류는 지느러미 형태의 다리를 가진 해양포유류를 일컫는 용어로, 이번 발견은 강치가 울릉도에도 서식했음을 과학적으로 증명한다.

해양환경공단과 부산대학교는 지난 9월 환동해 기각류 서식 실태조사를 하면서 과거 강치가 살았던 것으로 알려진 울릉도 가재굴에서 바다사자 뼈로 추정되는 동물 뼈를 20점 이상 발굴했다.

이 중 일부에 대해 부경대학교에 유전자 분석을 의뢰한 결과 국제유전자정보은행(NCBI)에 2007년 등록됐던 바다사자 유전자 데이터베이스와 최대 99.39%가 일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에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동해연구소가 독도에서 바다사자 뼈로 추정되는 동물 뼈 5점을 채취하고 유전자 분석을 한 결과 강치의 뼈로 밝혀진 바 있다.

연합뉴스

강치 모형 설치된 일본 '영토·주권 전시관'
(서울=연합뉴스) 올해 1월 21일 이전·확장 작업을 거쳐 정식 개관한 일본 도쿄 지요다구의 일본 '영토·주권 전시관'에 강치 조형물이 설치돼 있다. 일본은 자국 어민이 독도에서 강치잡이를 해온 점을 독도 영유권 주장 근거의 하나로 내세우고 있다. 2020.11.29.[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금지] photo@yna.co.kr



강치는 가늘고 긴 몸에 짧은 귀와 꼬리를 가진 것이 특징이며 암컷은 1.6m, 수컷은 2.5m 정도로 자란다. 수컷의 몸무게는 최대 560㎏에 이르렀던 것으로 전해진다.

동해와 일본 북해도에 주로 서식했으며 한국에서는 울릉도와 독도가 최대 번식지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일본에 의해 1903년부터 1941년까지 독도를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남획됐다. 특히 남획 초기인 1904년에는 약 3천200마리가 희생된 것으로 파악됐다.

강치가 국내에서 마지막으로 확인되었을 때는 1976년 독도로, 이후에는 국내 서식이 확인되지 않았다. 이후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강치를 절멸종으로 분류했다.

이재영 해수부 해양생태과장은 "울릉도에 독도 바다사자가 서식했다는 사실은 그간 문헌상으로만 기록되어 있었는데 이번 발견은 이를 과학적으로 증명했다는 점에서 매우 큰 의미가 있다"면서 "앞으로 관련 연구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바다사자 복원을 위한 조사와 연구를 지속해서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독도강치 기원벽화 제작도면
(서울=연합뉴스) 독도와 울릉도 주변에 서식하다 일제 강점기를 기점으로 멸종된 독도강치의 복원을 바라는 벽화 제막식이 지난 7월 8일 개최됐다. 사진은 독도강치 기원벽화의 제작도면. 2020.11.29.[해양수산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ohyes@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