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3 (화)

한은 "코로나에 가계저축률 6%→10%…고착화 막아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김은별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위기로 소비가 위축되며 가계저축률이 큰 폭으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통상 저축률이 오르면 투자가 늘며 생산성이 높아지지만, 코로나19 상황에선 불확실성이 높아 돈을 쓰지 않으면서 오히려 경기부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29일 한국은행은 '조사통계월보 논고 - 코로나19 위기에 따른 가계저축률 상승 고착화(level-up) 가능성'에서 "올해 가계저축률은 소비가 상당폭 감소하면서 1999년 이후 처음으로 10% 내외에 이를 것"이라며 "지난해에는 가계저축률이 약 6.0% 수준이었는데 4%포인트나 늘어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평균 가계저축률(2015~2019년)이 6.9%수준이었던 것을 감안하더라도 코로나19 이후 사람들의 소비가 크게 줄며 가계저축률이 늘어난 것을 알 수 있다.


이용대 한은 조사국 조사총괄팀 과장은 "올해 가계저축률이 오른 것은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되고 감염 우려 등으로 여행, 숙박·음식과 같은 대면서비스 부문에서 소비가 위축된 데 상당부분 기인한다"며 "따라서 향후 감염병 확산이 진정되면 억눌렸던 소비가 되살아나며 가계저축률 상승이 어느 정도 되돌려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다만 "앞으로 경기부진이 장기화된다면 가계의 미래 예상소득이 감소하고, 금융기관으로부터의 대출도 어려워지면서 이에 대비한 가계의 저축성향이 높아질 수 있다"며 "소득불평등도 심화됨에 따라 높아진 가계저축률이 고착화 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고용·소득부진이 장기화하고 코로나19 상황이 길어지며 정부지원도 불가피하게 줄어들면 가계가 예상하는 미래소득이 줄면서 이에 대비한 예비적 저축이 늘어날 수 있다. 경기부진이 장기화하며 금융기관에서 대출이 어려워 질 경우에도 가계는 현재 소비를 줄이는 경향이 있다. 저소득층 소득이 더 크게 감소한다면 저축성향이 높은 고소득층의 소득이 전체 가계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확대되며 전체 가계의 저축성향이 오를 가능성도 있다.


이 과장은 "이처럼 높아진 가계저축률이 고착화하면 소비부진이 장기화하며 수출·투자에 대한 우리 경제의 의존도가 높아질 수 있고, 가계에 대한 지원이 소비보다는 저축으로 이어지는 경향이 높아져 내수부양 정책 효과가 약화될 소지도 있다"고 전했다.


소비에 비해 수출과 투자의 변동성이 크다는 점에서 우리 경제의 수출·투자 의존도 상승은 경기변동성을 확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또 "보다 긴 시계에서는 저축(자금공급)이 투자를 위한 자금수요를 웃도는 가운데 수요도 줄어들면서 저성장·저물가·저금리 현상(secular stagnation)이 뉴노멀이 될 가능성도 있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그는 "가계저축률이 고착화하지 않으려면 ▲가계 소득여건 악화 및 신용제약 증대 ▲소득불평등 심화 등 구조적 요인을 완화할 수 있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은별 기자 silverstar@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