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8 (목)

[차이나pick]찻잔 놓고 커피잔 드는 中…5년 뒤면 25조 시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국 커피 소비량 19.5만톤…전년비 4.8%↑

대도시 젊은층 중심으로 커피 선호도 높아져

한국인 커피소비량 한해 353잔..중국은 12잔 그쳐

코로나19 비대면 온라인 서비스 활성

이데일리

지난 2월 중국 베이징의 한 스타벅스 매장 안 테이블이 모두 치워져있다. 이 매장은 ‘코로나19’로 인해 영업시간을 단축하고 포장 제품만 판매했다. 사진=신정은 특파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베이징=이데일리 신정은 특파원] 중국의 지난해 커피시장 규모는 860억위안(약 14조5000억원)에 달했습니다. 숫자로만 보면 큰 숫자지만 사실 중국인이 한해 마시는 1인당 커피 소비량은 12잔 수준에 불과합니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한국인 1인당 커피 소비량은 2015년 291잔에서 2018년 353잔으로 21% 증가했습니다. 한국인이 중국인들보다 30배 가량 커피를 더 마신다는 얘기입니다. 중국인들의 커피소비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이유는 전통 차 문화가 발달해 차를 통해 충분한 카페인을 섭취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하지만 도시의 젊은이들이 커피를 마시기 시작하면서 관련 시장도 커지고 있습니다.

미국농업부(USDA)가 최근 발표한 ‘글로벌 커피산업 발전추세’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커피 소비량은 약 19만5000톤으로 전년대비 4.8% 증가했습니다. 2019년 중국 1인당 커피 소비량은 약 12.3잔으로 전년(11.7잔)대비 5.1% 늘었습니다. 이 가운데 인스턴트커피가 전체 커피 소비량의 72%를 차지하며 원두커피, 캔커피는 각각 18%, 12%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쳰잔(前瞻)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커피시장 규모는 약 860억위안에 달했는데요. 2년전인 700억위안에 비해 22.9% 증가했습니다. 첸잔연구원은 향후 중국 커피시장이 매년 10%씩 성장해 2025년에 1524억위안(약 25조6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중국에서 커피를 소비하는 주요군은 대도시인 1, 2선 도시에 거주하는 90년대 이후 출생(지우링허우·90后)인 20~30대의 직장인 여성입니다. 교육업, 금융업, 서비스업, 일반 회사원, 학생 등 다양한 직업군에 분포돼 있습니다. 이들은 직장, 집, 쇼핑레저 등 다양한 공간에서 주로 각성효과와 피로회복 효과를 위해 매주 3~6잔의 커피를 소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데일리

중국 커피시장 규모. (자료=첸잔산업연구원)


중국은 윈난성 등에서 커피를 생산하고 있지만 생산량이 많지 않아 수입 커피에 대부분 의존하고 있습니다. 외국 기업으로는 스위스의 네슬레가 1980년대 중국 시장에 처음으로 진출했는데요, 네슬레는 중국에서의 커피 대중화를 실현한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커피 프랜차이즈의 경우 스타벅스가 1991년 처음 중국 시장에 진출했습니다. 스타벅스는 2018년 프랜차이즈 커피 시장점유율 59.2%로 1위를 차지하고 있는데요. 그 뒤를 맥도날드의 맥카페, 코스타커피 등이 뒤를 잇고 있습니다.

한국계 커피 프랜차이즈는 만(MAAN)커피, 주커피(Zoo coffee) 등이 있습니다. 만커피는 지난해 기준 중국 전국 620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 중 70% 정도가 직영점입니다. 주커피(Zoo Coffee)는 동물원 테마를 특징으로 해 지속적으로 사업을 확대해왔고 현재 100여 개 매장을 운영 중입니다.

이데일리

중국 커피 소비자 지역 분포도. 자료=첸잔산업연구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해 중국 내에서는 상반기 많은 커피 전문점이 영업을 하지 않았고, 소비자들도 사람이 많은 장소를 기피하면서 대면서비스 소비가 위축됐습니다. ‘데이터100 시장연구소’는 코로나 사태 이후 소비자들의 외부 활동이 줄어들면서 커피 소비가 23% 이상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기도 했습니다. 현재 비대면 서비스의 활성화로 커피시장에서도 온라인 사전주문, 배달, 무인 커피판매기 등 새로운 형태의 판매방식이 주목받고 있는데요,

중국의 스타벅스로 불리는 러킨(瑞幸·루이싱)는 택배사 순펑과 협력해 픽업형, 배달에 특화된 사업 모델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단기간에 매장 수를 급속하게 늘리면서 크게 성장했습니다. 이에 따라 스타벅스도 중국에서 배달서비스를 시작했으며 배달은 커피 시장의 새로운 트렌드가 되고 있습니다.

인스턴트 커피 역시 트랜드가 변하고 있는데요. 티몰(天猫·톈마오)과 CBN데이터에 따르면 현재 스틱형 커피가 인스턴트 커피 시장을 주도하고 있지만 액상 커피, 드립백 커피, RTD(Ready To Drink) 커피(즉시 음용), 분쇄 커피, 캡슐 커피, 커피 원두 등도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한려화 코트라 창사무역관 연구원은 “코로나 사태 이후 건강과 면역력에 대한 소비자들의 의식이 높아지면서 원두커피 선호가 증가했고, 환경보호, 윤리적 생산에 대한 소비자 의식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는 것도 주목할 만하다”며 “프랜차이즈 커피매장을 이용하는 주요 이유는 신선한 커피, 매장의 분위기 순으로 나타나 중국인의 입맛에 맞는 커피와 프랜차이즈 개발이 필요한 대목”이라고 조언했습니다.

이데일리

중국 커피 프랜차이즈 인지도 조사. 자료= DATA100, 코트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