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30 (토)

이슈 남북관계와 한반도 정세

“MRI? 에미나이?”…탈북민 남북 의료용어 차이 해소 사례집 나온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하나원·국립암센터 ‘탈북민 남북한 질병언어 소통 사례집’ 발간

南 의료진도 탈북민 말 제대로 알아듣지 못해 치료 어려움 느껴

헤럴드경제

북한이탈주민정착지원사무소와 국립암센터는 9일 탈북민들이 남북한 의료용어 차이에서 겪는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북한이탈주민을 통해 본 남북한 질병언어 소통 사례집’을 발간한다고 밝혔다. [게티이미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북한이탈주민정착지원사무소(하나원)와 국립암센터는 9일 ‘북한이탈주민을 통해 본 남북한 질병언어 소통 사례집’을 발간한다고 밝혔다.

하나원과 국립암센터가 지난 5월 ‘북한이탈주민 의료지원협약’을 체결하고 추진한 협업사업의 결과물이다.

탈북민들이 남북한 의료 경험 차이로 인해 한국에 정착한 뒤 의료기관을 이용할 때 겪는 의사소통 문제를 해결하고 탈북민들의 건강관리 증진을 목적으로 제작했다.

탈북민들이 한국 사회 적응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 중 하나가 남북 간 언어 차이인데 특히 의료기관을 이용할 때 문제가 크다.

일례로 의료진이 MRI(자기공명영상) 검사를 권고하면 일부 탈북민들은 “뭐야 에미나이로 욕을 한다”고 반발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또 탈북민들은 의료진의 문진, 청진, 타진, 촉진 등 충분한 진단과정이 없으면 “치료를 받지 못했다”고 불만을 호소하곤 한다.

한국에선 출산이 임박한 임산부의 양수파열로 분비물이 나타날 때만 ‘이슬’로 표현하는 것과 달리 북한에서는 부인과 염증으로 나타나는 모든 분비물을 이슬로 표현하는 등 남북 간 의료용어 차이도 적지 않다.

이밖에 탈북민들은 정신적 문제를 신체검진으로 해결하려하거나 증상을 과하게 호소하고 자가진단과 민간요법을 시도하는 경향도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난다.

한국 의료진 역시 진료와 치료 과정에서 탈북민의 이야기를 제대로 알아듣지 못해 적잖은 애로를 느끼고 있었다.

이에 하나원과 국립암센터는 지난 8월부터 지난달까지 넉달 동안 탈북민들의 의료기관 이용 현황을 조사하고 의료현장 경험담을 이번 사례집에 수집·정리했다.

특히 북한에서 의료계에 종사했던 탈북민들 대상 심층면담을 진행하고 북한 의료 용어와 환경을 조사해 수록함으로써 한국 의료진들이 탈북민들이 사용하는 언어의 배경과 맥락을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국립암센터 측은 “하나원과 시도한 남북한 질병언어 연구 이후 더욱 많은 연구가 진전돼 남북 보건의료협력의 소중한 밀알이 되길 소망한다”고 밝혔고, 이주태 하나원 원장은 “사례집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탈북민들의 의료기관 이용과 건강관리를 도울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shindw@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