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30 (토)

이슈 산업생산과 소비동향

포스코 “2050년까지 연간 500만t 수소 생산 체계 구축해 산업 선도할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자료 제공 = 포스코]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포스코는 ‘수소 경제를 견인하는 그린 수소 선도기업’으로 발돋움하기 위해 오는 2050년까지 연간 500만t의 수소를 생산하는 체계를 구축하고, 수소 사업의 매출 규모를 30조원으로 키우겠다는 목표를 세웠다고 13일 밝혔다.

최정우 포스코 회장은 “미래 청정에너지의 핵심인 수소를 주도적으로 생산, 공급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탄소 중립 사회를 위한 국가 수소 생태계 완성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미래 청정 에너지인 수소 사업 분야를 개척해 탈(脫) 탄소 시대를 선도하겠다는 의미라고 포스코는 강조했다.

이를 위해 포스코는 오는 2030년까지 물을 전기 분해해 수소를 생산하는 기술, 수소를 추출하는 기술 등 핵심 기술과 생산 역량을 조기에 갖추고 수소 사업을 그룹 성장 사업의 한 축으로 육성해 미래 수소시장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겠다는 계획도 수립했다.

차세대 청정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는 수소는 연간 국내 수요가 오는 2030년 194만t, 2040년 526만t 이상으로 증가하고, 활용 분야도 석유화학산업 중심에서 수송·발전 등으로 확대될 것이라고 포스코는 전망했다.

정부도 수소경제위원회 출범 및 그린뉴딜 정책을 선언하고 수소경제로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포스코는 철강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생가스(Cokes Oven Gas)와 천연가스(LNG)를 이용해 연간 7000t의 수소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다. 현재는 약 3500t의 부생수소를 추출해 철강 생산 과정에서 온도 조절과 산화 방지 등의 용도로 사용한다. 또 세계 최초로 수소 연료전지 분리판용 철강제품을 개발해 국내에서 생산되는 수소차에 공급하는 등 수소 생산과 이용에 필요한 역량을 갖추고 있다.

향후 포스코는 ▲수소를 활용한 철강 생산 기술인 ‘수소 환원 제철공법’ 연구 ▲수소를 ‘생산·운송·저장·활용’ 하는데 필요한 강재 개발 ▲부생수소 생산 설비 증대 ▲수소 생산 핵심기술 개발 등 수소 관련 역량 강화를 추진한다.

이 같은 역량을 활용해 ▲‘그린수소’ 유통 및 인프라 구축 ▲‘그린수소’ 프로젝트 참여 등 다양한 사업 기회도 모색한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오는 2025년까지 부생수소 생산 능력을 7만t으로 늘리고, 2030년까지 글로벌기업과 손잡고 ‘블루수소’를 50만t까지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블루수소는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의 활용으로 생산되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는 포집·분리돼 땅 속에 묻힌다.

포스코는 블루수소와 함께 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물의 전기분해를 통해 생산되는 ‘그린수소’는 오는 2040년까지 연산 200만t의 생산체제를 구축하기로 했다.

이렇게 생산된 수소는 우선 철강 생산에 활용된다. 포스코는 2050년까지 ‘그린수소’를 기반으로 한 수소 환원 제철소를 구현해 철강분야에서도 탈탄소·수소시대를 열겠다는 방침이다. 수소환원제철공법이 상용화되면 최대 연간 370만t의 ‘그린수소’가 필요해진다. 포스코가 수소 산업에서 최대 수요업체이자 생산업체로 도약하는 그림이 그려진다.

이와 함께 ‘그린수소’ 생산과 운송에 필요한 핵심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국내외 연구기관과 기술 협력을 진행하고, 글로벌 기업과 파트너십을 추진한다. 수소 운송과 저장의 핵심 기술로 꼽히는 암모니아 수소추출기술 개발에도 나선다. 암모니아는 수소를 질소와 결합시킨 것으로 운송과 저장이 용이해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운반체로 평가받고 있다.

가장 초기사업으로 포스코는 제철소 지역에 수소충전소 설치 등의 인프라를 구축하고, 철강 운송 차량, 사내 업무용 차량 등을 수소차로 전환하는 등 철강 물류 기반의 수소생태계를 육성해 수요 기반 창출에 나설 계획이다. 현재 포스코 철강제품 운송 대형 트럭은 약 1500대이며 임시로 투입되는 운행대수까지 포함하면 연간 5000대 규모다.

포스코그룹의 역량을 집중해 ‘생산·운송·저장·활용’ 등 수소 산업 분야의 모든 주기에 걸친 가치사슬도 함께 마련한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해외네트워크를 활용해 정부의 수소 도입 사업과 해외 수소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다. 포스코에너지는 수소 전용 터미널을 구축하는 한편 현재의 액화천연가스(LNG) 터빈 발전을 오는 2030년부터 단계적으로 수소터빈 발전으로 전환한다. 포스코건설은 수소 도시 개발 프로젝트는 물론 수소 저장과 이송에 필요한 프로젝트 시공을 담당하게 된다.

이 같은 계획을 실행하기 위해 포스코는 내년 1월 사업부를 출범하고, RIST(포항산업과학연구원)를 중심으로 국내외 연구기관과 R&D 협력을 추진할 계획이다.

[한경우 기자 case10@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