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8 (목)

[김보겸의 일본in]日에도 '이루다' 있었다…남성 AI와 성차별 논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년전 일본서도 여성 AI 성희롱 논란 일어

21세 여성 설정 AI 사쿠라에 이용객들 성희롱 논란

성희롱에도 상냥한 사쿠라와 달리 남성 AI는 무뚝뚝

"AI에 구태의연한 여성상 부여" 비난 일어

남성 개발자들이 여성AI에 고정된 성역할 부여 지적

이데일리

AI 챗봇 이루다(왼쪽)와 마찬가지로 성희롱과 개인정보 사용 논란이 일었던 일본의 ‘사쿠라’ (사진=연합뉴스·티후아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김보겸 기자] 한국은 시차를 두고 일본을 뒤따라간다. 20대 여대생 컨셉의 인공지능(AI) 로봇을 인간이 성희롱한 일. 지난해 일본에서도 불거진 바 있다. 최근 한국에서 스무살 여성으로 설정한 AI 챗봇 ‘이루다’가 성희롱 논란에 이어 혐오발언, 개인정보의 부적절한 이용 문제가 줄줄이 터지며 결국 서비스를 중단했다. 일본서 발생한 사쿠라 논란은 우리 사회에 이루다가 던진 문제의식과도 맞닿아 있다.

이데일리

개발사 티후아나가 공개한 사쿠라의 명함(사진=티후아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일본서도 21세 AI 여성 성희롱

“신체 사이즈 알려줘”

“미안해요. 잘 못 들은 걸로 할게요”

21세 설정의 여성 AI ‘시부야 사쿠라’가 승객과 나눈 대화 일부다. 지난해 3월 일본 도쿄에 새로 만들어진 네타 카나와 역에서 환승 안내 등을 맡은 사쿠라에게 “남자친구가 있나” “신체 사이즈를 알려달라” 등 업무와 관계 없는 성희롱성 발언을 일삼는 승객들이 생겨난다는 지적이 나왔다.

사쿠라는 2020년 3월 새로 생긴 일본 도쿄도 네타 카나와 역의 안내 AI다. 여성 역무원 모습을 한 사쿠라는 환승 정보나 역 주변 음식점을 알려주는 역할을 맡았다. 업무뿐 아니라 잡담이나 유머러스한 답변도 하도록 프로그래밍돼 마치 사람과 대화하는 느낌을 주도록 설계됐다.

이데일리

지난해 3월 새로 생긴 도쿄의 네타 카나와 역에 설치된 AI 사쿠라(위)와 AI 유우지(아래). 유우지는 업무와 관련 없는 질문을 하면 냉담하게 답해 다소 ‘매정하다’는 지적을 받는다(사진=네타 카나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제는 여성 AI와 남성 AI가 이미지 구현을 비롯해 승객들의 성희롱적인 질문에 대응하는 방식이 전혀 다르다는 점이다. 2D 그래픽을 사용해 만화적으로 설정한 사쿠라와 달리 ‘유우지’라는 이름의 남성 AI 3D로 보다 사실적이다. 유우지에게 신체 사이즈를 물으면 다음과 같은 답변이 돌아온다. “나는 라커와 화장실, 역 주변 시설 안내를 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유우지는 업무와 관련 없는 질문에 대한 답변에는 다소 매정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반면 사쿠라는 “귀엽다”고 하면 “고맙습니다! 조금 부끄럽네요”라 답한다. 업무와 관계없는 질문에도 구체적인 답변을 내놓는 것이다. 이를 두고 “성희롱하는 아저씨가 바라는 반응”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왜 성별에 따라 응답에 차이가 날까. 개발사 측은 “기밀 정보라 응답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한국에서 유료 심리분석 앱에서 당사자 동의 없이 실제 연인들의 대화를 수집해 이루다에 학습시켰다는 의혹과 겹쳐 보이는 건 우연일까.

성희롱과 개인정보 활용 논란 이후 사쿠라는 시스템을 수정했다. 현재는 업무와 관련이 없고 부적절한 질문에 “답하고 싶지 않다” 또는 “일에 관한 질문을 해 달라”고 한다. 전보다는 단호해진 모습이다.

이데일리

1927년 최초의 로봇 영화인 ‘메트로폴리스’에 처음으로 등장한 인공지능 로봇 ‘마리아’는 사람들을 선동해 폭동을 일으키려고 시도하다 결국 처참하게 부숴진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구태의연한 고정된 성역할 여성 AI에 부여 지적도

애초부터 여성 AI가 사쿠라처럼 수동적으로 그려진 건 아니다. 1927년 최초의 로봇영화인 독일의 흑백 무성영화 ‘메트로폴리스’에 등장하는 ‘마리아’가 대표적 사례다. 최초의 인공지능 로봇이라고 할 수 있는 마리아는 노동자들을 선동해 폭동을 일으키려다 정체가 들통나 파괴당한다.

하지만 이후로는 남성 AI가 파괴자 역할을 줄줄이 꿰찼다. 스탠리 큐브릭의 1968년작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에서 자신을 고장내려는 우주인을 살해한 남성 로봇 ‘할’ 부터 제임스 카메론의 1984년작 ‘터미네이터’까지.

최근 들어선 ‘그녀(2014)’, ‘블레이드 러너 2049(2017)’ 등에서 인간과 감정을 나누며 사랑에 빠지기도 하는 여성 AI가 등장한다. 아사히신문은 이를 두고 “AI가 ‘인류의 위기’에서 ‘인류의 보조’ 역할로 인식이 바뀐 데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데일리

영화 ‘블레이드 러너 2049’에서 주인이 원하는 대로 행동하도록 설계된 여성 AI 홀로그램 ‘조이’ (사진=블레이드 러너 2049)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런 인식이 현실 여성에 대한 고정관념을 굳힌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쿠라 논란도 마찬가지다. 기쿠치 나츠노 릿쿄대학 교수는 아사히신문에 “사쿠라는 무슨 말을 들어도 웃으며 부드럽게 넘기는 여성상을 투여한 것”이라며 “고도의 기술로 AI에 인간성을 부여하려는 시대에 구태의연한 여성상을 포함했다”고 꼬집었다.

아사히 “여성개발자 늘어야 편견 타파”

쓰레기가 들어가면 쓰레기가 나온다. AI가 방대한 데이터를 딥러닝으로 학습하는 만큼, 대화의 재료가 되는 데이터가 사회의 편견을 반영하면 성차별을 재생산한다. ‘남초 현상’이 두드러진 현재의 IT 분야는 이러한 문제를 사전에 감지하는 데 취약하다. 지난 2018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조사에 따르면 한국에서 IT분야 종사자 중 여성은 16%에 그친다. 여성의 IT 종사율이 가장 높은 남아공도 32%에 불과하다.

아사히신문이 해결책으로 여성 AI 개발자가 많아져야 한다고 지적한 것도 이 때문이다. 남성이 대부분인 업계에는 여성이 취업이나 진학을 주저하고, 결과적으로 여성 종사자가 더욱 적어지는 악순환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신문은 “여성이 AI분야에 진출할 환경을 만들기 위한 제도적인 노력이 더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항상 따라붙는 ‘역차별 지적’을 의식한 듯 신문은 이렇게 덧붙이기도 했다. “특정 성별이 극도로 적은 업계에서는 이런 조치가 아직 필요하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