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8 (목)

프랑스도 덮친 '깔창 생리대'…대학생 13% 돈없어 못산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여학생에 생리용품을 무상으로 제공하는 나라들이 늘고 있다. 어려운 형편 탓에 생리대·탐폰 등을 사지 못하는 이른바 '생리 빈곤(Period Poverty)' 문제가 코로나19 사태 와중에 심화하면서다.

중앙일보

프랑스에서 지난 23일(현지시간) 여학생들에게 무료로 생리대, 탐폰 등 생리용품을 제공하겠다고 발표했다. [AF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23일(현지시간) 프레데릭 비달 프랑스 고등교육연구혁신부 장관은 생리용품을 무료로 제공하는 기계를 대학교와 학교 기숙사 등에 설치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새 학기가 시작되는 올해 9월까지 모든 대학에서 생리용품을 무료로 쓸 수 있게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정책은 지난해 말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이 '생리 빈곤 문제'를 다루겠다고 공언하면서 구체화했다.

중앙일보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AP=연합뉴스



코로나19 영향으로 프랑스에서 청년 빈곤 문제가 부각된 것도 정책 도입의 배경이다. 학업과 병행할만한 아르바이트 자리가 줄면서 생활비 마련에 곤란을 겪는 청년들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프랑스 대학생 연합회가 최근 학생 6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13%는 돈이 부족해 생리용품과 다른 생활필수품 중 하나를 포기해야 할 처지라고 답했다.

중앙일보

프레데릭 비달 프랑스 고등교육연구혁신부 장관 [AF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프랑스 대학생연합회에서 활동 중인 세실 테브네는 이같은 발표에 "대단한 승리이자 대단한 진전"이라고 환영했다.

중앙일보

지난 2019년 네덜란드에서 열린 한 이벤트에서 생리 빈곤과 관련해 퍼포먼스를 하며 관심을 촉구하고 있는 청원자들의 모습. [AF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앞서 지난 18일 저신다 아던 뉴질랜드 총리도 향후 3년간 뉴질랜드 학생들에게 생리용품을 무료로 제공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뉴질랜드에선 마오리족 학생의 15%, 태평양 섬 출신 이민자 학생의 14%가 생리용품이 없어 결석한 적이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생리대 무료 제공은 오는 6월부터 뉴질랜드 초·중·고교 학생들에게 모두 적용된다. 이에 필요한 예산은 2500만 뉴질랜드 달러(약 200억원)로 추산됐다.

중앙일보

저신다 아던 뉴질랜드 총리. [A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스코틀랜드 의회도 지난해 11월 생리용품을 무상으로 제공하는 법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영국은 올해 1월 1일부터 생리용품에 부과하는 '탐폰세'(생리용품에 대한 5% 부가가치세)를 폐지했다.

이는 영국이 유럽연합(EU)에서 탈퇴하는 브렉시트가 1일부터 발효된 데 따른 것이다. EU는 위생용품에 예외 없이 부가가치세를 부과하는데 영국이 EU에서 탈퇴하면서 이런 의무에서 벗어나게 된 것이다.

리시 수낙 영국 재무장관은 "탐폰세 폐지 약속을 지키게 돼 자랑스럽다"라면서 "위생 용품은 필수품이기 때문에 부가가치세를 부과하지 않는 것이 옳다"고 말했다.

더 힐에 따르면 2019년 조사에서 미국 대도시에 사는 저소득층 여성 3분의 2는 생리용품을 살 형편이 안 돼 종이 등 '위생적이지 않은 대안'을 이용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더 힐은 "생리 빈곤이 정신 건강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서 "생리 빈곤을 경험한다고 보고한 이들의 경우 68.1%가 우울증을 겪었다"고 전했다.



코로나에 '생리 빈곤'도 심화



코로나 19 사태 이후 전 세계적으로 생리 빈곤 현상은 심화했다.

특히 학교가 봉쇄된 영향이 컸다.

BBC는 인도 정부가 지난해 3월 전국적인 봉쇄 조치를 시행하는 과정에서 생리대를 '필수품' 목록에 포함하지 않으면서 전국적인 생리대 공급 부족 현상이 일어났다고 전했다.

인도 국공립 중·고등학교에선 여학생들에게 생리대를 무상 지급한다. 그런데 봉쇄 조치로 학교가 문을 닫으면서 생리대를 지원받던 빈민촌 학생들이 타격을 입었다는 것이다.

중앙일보

2019년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생리 빈곤 종식' 행사에서 참가자가 발언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도 지난 2016년 빈곤층 여학생들이 신발 깔창을 생리대로 이용한다는 사연이 알려지며 '생리 빈곤' 문제가 부각됐다. 그 뒤 2018년부터 저소득층 여성 청소년에게 생리대와 바꿀 수 있는 바우처를 제공하고 있다.

서유진 기자 suh.youji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