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층간소음 줄이기 시공, 팔 걷은 건설사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공동주택 ‘사후 확인제’ 대비

[경향신문]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집콕 늘어 이웃 간 분쟁 급증
바닥 구조·재료 신기술 개발
전담 부서 신설 종합적 연구
고탄성 완충재 특허 등록도

건설사들이 층간소음을 줄이기 위해 전담부서를 신설하고 특허를 내는 등 앞다퉈 기술 개발에 나서고 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집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자 층간소음 분쟁이 늘어난 데다, 내년부터 강화되는 관련 기준에 맞추기 위해서다.

롯데건설은 최근 ‘층간소음 제로화’를 위해 기술연구원 산하 ‘소음 진동 솔루션팀’을 신설했다. 층간소음, 구조물 진동, 설계 등 분산돼 있던 업무와 부서를 통합하고, 층간소음 관련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시작으로 완충재 및 신기술 개발 등을 추진한다. 발뒤꿈치나 망치 등 무겁고 큰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층간소음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중량 충격음에 주력해 오는 3월부터 완충재를 개발할 계획이다.

삼성물산은 지난해 12월 조직개편을 통해 층간소음연구소를 신설했다. 엔지니어링(ENG) 센터 산하에 석·박사급 인력 10여명으로 꾸려졌다. 연구소는 층간소음 원인과 현황 분석부터, 재료와 구조, 신공법까지 층간소음을 줄이기 위한 기술 개발과 해결책 확보 등 종합적으로 연구에 나선다.

기술경쟁도 속도를 내고 있다. 대우건설과 DL이앤씨(옛 대림산업)는 층간소음을 잡아내는 바닥구조를 개발해 특허를 냈다. 대우건설은 내력강화 콘크리트, 고탄성 완충재, 강화 모르타르(시멘트와 모래를 섞어 만든 자재)로 구성해 성능이 강화된 ‘스마트 3중 바닥구조’를 개발해 지난달 특허 등록을 마쳤다. 소음 발생을 가구 내 월패드를 통해 알려주는 기술도 추가됐다. DL이앤씨도 지난해 콘크리트 슬래브(철근콘크리트 구조의 바닥) 위에 3개 층을 겹겹이 쌓아 층간소음을 걸러주는 ‘노이즈 프리 바닥구조’를 개발해 특허출원을 완료한 상태다.

그 밖에 현대건설은 층간소음 저감기술인 ‘H 사일런트 홈’을 올해 분양주택부터 적용한다. 포스코건설은 다양한 소재를 접목해 층간소음을 줄일 수 있는 ‘하이브리드형 강성보강 바닥 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포스코건설 관계자는 “내년 바닥충격음 성능기준 변경에 대비해 현재 시공 중인 가구의 현장 조사 및 개선 사항에 대한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건설사들이 이처럼 층간소음 잡기에 팔을 걷어붙이고 나선 것은 내년에 도입될 ‘층간소음 사후 확인제도’에 대비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층간소음이 강력범죄로 비화하는 등 사회문제로 확산되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아파트가 건설된 이후 층간소음 차단 성능을 확인하는 제도를 도입하기로 했다. 그동안 바닥충격음 차단 성능이 확인된 소재만 사용하도록 한 ‘사전 인정 방식’은 아파트 구조나 면적, 바닥 두께 등 실제 층간소음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기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한국환경공단 이웃사이센터에 따르면 코로나19가 확산된 지난해 층간소음 민원은 4만2250건 접수돼 전년보다 61% 증가했다. 국토교통부는 현행 주택법과 시행령 등을 개정해 늦어도 내년 7월부터 30가구 이상 공동주택에 대해 시공 후 입주를 앞두고 바닥충격음 차단 성능을 측정하도록 의무화할 계획이다. 지방자치단체는 측정 결과 성능이 기준에 미달하는 경우 보완 시공 등 개선 권고조치를 내릴 수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28일 “현재 연구용역 진행을 앞두고 있다”며 “분석을 토대로 성능기준 확정에 나서고, 올해 12월까지 주택법 개정 등을 거쳐 제도 도입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희진 기자 hjin@kyunghyang.com

▶ [인터랙티브] 돌아온 광장, 제주도 ‘일호’의 변신
▶ 경향신문 바로가기
▶ 경향신문 구독신청하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