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19 (화)

전기車 기존보다 20% 더 달린다!…KAIST 고용량 배터리 소재 개발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신소재공학과 조은애 교수 연구팀, 차세대 리튬 과잉 양극소재 안정성 높여

- 간단한 공정으로 대량생산에도 적합

헤럴드경제

전기자동차.[123rf]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전기자동차의 최대 단점으로 꼽히는 주행거리를 기존보다 20% 이상 높일 수 있는 배터리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조은애 교수 연구팀이 현재 사용되고 있는 배터리 양극재와 비교해 20% 이상 에너지 밀도가 높으면서 안정성을 유지하는 고용량의 리튬 과잉 양극 소재를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현재 전기자동차 배터리에는 니켈 함량이 높은 ‘하이니켈(Ni)’ 양극 소재가 사용되고 있다. 배터리 양극 소재는 코발트, 니켈, 망간산화물인데 니켈의 함량이 높을수록 용량이 높다. 하지만 하이니켈 양극 소재로는 주행거리 향상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어 연구팀은 하이니켈 양극 소재의 대안으로 리튬 과잉 양극 소재를 제안했다.

리튬 과잉 양극 소재는 리튬이 과량으로 함유된 차세대 양극 소재로, 저장된 리튬의 양이 많아 가용 용량이 250mAh/g에 달해, 기존 하이니켈 양극 소재보다 20% 많은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리튬 과잉 양극 소재는 첫 충전과 방전 사이에 산화물을 구성하고 있는 산소가 기체가 돼 비가역적으로 추출되는 반응이 일어난다. 이에 따라 산화물 양극재의 구조가 붕괴되고 배터리 성능이 급격히 감소해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연구팀은 비가역적 산소 반응이 주로 발생하는 양극재 표면에 선택적으로 바나듐 이온을 도핑하는 기술을 개발해 리튬 과잉 양극 소재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성공했다. 리튬 과잉 양극 소재가 첫 충·방전에서 69%의 낮은 가역성을 갖지만, 바나듐을 도핑한 리튬 과잉 양극 소재는 첫 충·방전 시 81%에 달하는 높은 가역성을 나타냈으며, 100 사이클의 충·방전 이후에도 92%에 달하는 안정성을 확인했다.
헤럴드경제

조은애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KAIST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은애 교수는 “도핑된 바나듐 이온이 양극 소재 내 산소 이온의 전자구조를 변화시켜 충·방전 시 가역적인 산화·환원 반응이 가능하게 했다”면서 “전체 공정이 비교적 간단해서 대량생산에도 적합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재료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 1월 29일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nbgkoo@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