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19 (화)

미세먼지 ‘원산지’ 확인 기술 개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원자력연구원 김지석 박사팀

방사성물질 분석 중국산 가려내

[경향신문]

미세먼지에 섞인 방사성물질로 오염 발원지가 국내와 국외 중 어디인지 확인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원자력연구원 김지석 박사팀은 특정 미세먼지가 포함한 극미량의 방사성물질 종류를 구분해 국내와 국외 중 어디서 생겼는지 알아내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연구진은 ‘중성자 방사화 분석법’이라는 기술을 이용해 미세먼지 내에서 기존까지 35개 방사성물질을 판별했으며, 최근 5종을 추가 분석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번 기술의 핵심은 방사성물질들이 가진 특성에 주목해 미세먼지의 ‘원산지’를 알아내는 것이다.

연구진에 따르면 방사성물질인 ‘베릴륨-7’이 섞인 미세먼지는 중국 등 국외에서 날아온 것일 가능성이 크다. 베릴륨-7은 주로 고도 10㎞ 이상의 성층권에서 우주물질의 영향으로 생성되는데, 미세먼지와 함께 지상으로 내려오는 경로를 밟는다. 중국 등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상당 부분은 장거리 이동을 위해 높은 고도에서 떠다니다 하강하기 때문에 베릴륨-7을 머금고 있을 공산이 높다는 게 연구진의 분석이다. 이에 비해 ‘납-212’와 ‘납-214’가 함유된 미세먼지는 국내에서 생겼을 가능성이 크다. 이 물질들은 지각에서 가스 형태로 발생하는데 ‘반감기’, 즉 방사능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기간이 수십분에서 수시간에 불과할 정도로 짧다. 이런 물질은 중국 등 먼 거리에서 장시간 날아오는 미세먼지 내에서 온전히 남아 있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국내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방사성물질을 찾는 데에도 힘을 기울일 계획이다. 이런 물질을 확인한다면 특정 미세먼지가 중국 등에서 넘어왔는지를 더 쉽고 확실하게 판별할 수 있다. 원자력연구원은 미세먼지의 발원지를 추적하는 이 기술을 특허 등록했으며, 서울과 대전에 미세먼지 측정소를 구축해 운영 중이다. 김지석 박사는 “향후 실시간으로 미세먼지 오염원을 추적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에도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호 기자 run@kyunghyang.com

▶ [인터랙티브] 나의 탄소발자국은 얼마?
▶ 경향신문 바로가기
▶ 경향신문 구독신청하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