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新세종실록]관가도 '위드 코로나' 목전…"당분간은 하던대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8일부터 최대 10명 자정까지 모임 가능…"좀 지켜봐야"

수차 잠정중단 겪은 소비쿠폰은 재개 검토…"방역 고려"

[편집자주]뉴스1 세종팀은 정부세종청사 안팎의 소식을 신속하고도 빠짐없이 전하고 있습니다. 뉴스통신사로서 꼼꼼함을 잃지 않으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때론 못 챙기는 소식도 있기 마련입니다. 신(新)세종실록은 뉴스에 담지 못했던 세종청사 안팎의 소식을 취재와 제보로 생생하게 풀어내는 코너입니다. 역사상 가장 화려한 정치·문화가 펼쳐진 조선 세종대왕 시대를 기록한 세종실록처럼 먼 훗날 행정의 중심지로 우뚝 선 정부세종청사 시대를 되짚는 또 하나의 자료가 되기를 바랍니다.

뉴스1

© News1 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종=뉴스1) 서미선 기자 = 내달 단계적 일상회복인 '위드 코로나' 진입을 목전에 두고 세종 관가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전의 일상을 회복할 계기를 맞게 됐다.

16일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에 따르면 오는 18일부터는 수도권 최대 8명, 비수도권 최대 10명까지 모든 시설에서 사적모임을 할 수 있게 된다.

수도권 4단계, 비수도권 3단계인 거리두기 단계는 2주 연장되지만 3단계 지역의 식당·카페 영업시간은 오후 10시에서 자정까지로 확대된다.

비수도권인 세종은 18일부터 최대 10명까지 모일 수 있어 국·부서별 회식 등도 가능해진다.

지난 7월 초 사회적 거리두기 개편안을 통해 '8인 집합'이 반짝 가능해졌다가 같은달 26일 비수도권 거리두기가 3단계로 일괄 상향되며 회식이 다시 끊긴 이후 근 석달만이다.

다만 세종 관가 공직사회는 당분간은 지금의 일상을 이어가며 상황을 지켜본다는 분위기다.

앞서 완화된 거리두기 단계 시행 때마다 수도권 확진자가 급증하는 등의 '전례'가 있었던 만큼 이번에도 긴장의 끈을 놓긴 어렵다는 이유 등에서다.

공무원 중엔 서울에서 세종까지 매일 통근하거나, 주중엔 세종에 머물다 주말엔 서울·수도권의 본가로 가서 가족과 지내는 경우도 적지 않다.

세종청사의 한 과장급 공무원은 "위드 코로나라고 바뀌는 건 별로 없다"며 "거의 2년 동안을 4명이 식사하는 게 습관이 들기도 했고, 공무원들은 아무래도 처음엔 좀 지켜보면서 몸을 사릴 수밖에 없어 쉽게 분위기가 풀리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은 지난 15일 0시 기준 누적 확진자가 1330명으로 전국 시도 중 가장 낮다.

그러나 코로나19 확산 초기였던 지난 3월 해양수산부 공무원을 시작으로 '무더기 확진'이 나오면서 대응에 소홀했다는 비판을 받은 바 있다. 세종청사는 부처들이 내부 통로로 연결돼 있어 감염에 취약한 구조이기도 하다.

한편 기획재정부가 '위드 코로나'로의 방역체계 전환에 발맞춰 소비쿠폰 재개를 검토한다고 밝히면서 그간 수차 잠정 중단된 소비쿠폰 사용이 이번엔 무탈하게 이뤄질지도 관심사다.

정부는 지난해 7월 내수진작을 위해 8대 소비쿠폰을 집행한다고 발표했으나, 8월 중순 2차 대유행이 시작되며 쿠폰 지급을 중단했다. 이후 지난해 10월 코로나19 확산세가 주춤해지자 소비쿠폰 발급을 재개했으나 11월 3차 유행이 터지며 또다시 중단했다.

정부는 올해 6월말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을 통해 1차 백신접종률이 50%를 넘기면 외식·체육·영화·전시·공연쿠폰·스포츠관람 쿠폰을 발급하고, 70%를 넘기면 숙박·관광쿠폰을 재개하고 철도·버스 쿠폰을 새로 발급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하지만 이후 4차 확산이 시작되며 정부는 배달앱과 농축수산물 등 일부 쿠폰 외엔 소비쿠폰을 잠정 중단했다.

정부는 방역여건을 종합 고려해 소비쿠폰 재개를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전문가들은 이에 위드 코로나의 대전제는 환자 수가 현 의료체계로 감당할 만한 범위 안에 있어야 한다는 점이라면서, 확진자가 폭증하면 소비진작책은 또 미뤄질 수 있을 것으로 봤다.
smith@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