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6 (화)

집값 상승폭 줄고 하락거래 늘고…서울 집값 변곡점?[부동산360]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수도권 아파트값, 한달새 오름폭 축소

매수심리 위축에 하락 거래 늘어나…

“집값 꺾여” vs. “더 봐야” 시각 엇갈려

[헤럴드경제=양영경 기자] 수도권 아파트값 상승폭이 서서히 축소되고, 직전 거래보다 가격이 내린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가 늘고 있다. 정부가 기준금리 인상과 대출규제 강화 등 ‘돈 줄 조이기’에 나서면서 매수심리도 위축된 모습이다. 거세기만 하던 집값 상승세가 한풀 꺾이는 조짐이 하나 둘 나타나면서 시장의 향방에도 관심이 쏠린다.

헤럴드경제

서울의 한 부동산중개업소의 모습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6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0월 둘째 주(11일 기준) 수도권 아파트값은 0.32% 올라 전주(0.34%)보다 상승폭이 축소됐다.

수도권은 8월 셋째 주부터 5주 연속 0.40% 올라 부동산원이 통계를 작성한 2012년 5월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이후 4주간 0.36→0.34→0.34→0.32%로 오름폭을 줄였다.

서울 아파트값도 최근 7주간 상승폭을 줄이는 모습이다. 8월 넷째 주 0.22%를 찍은 뒤 서서히 내려 지난주 0.19%에서 이번 주 0.17%로 오름폭이 둔화했다. 부동산원은 “서울은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금리 인상 및 한도 축소 등의 영향으로 매수심리가 다소 위축된 것으로 파악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주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 지수는 101.9로, 지난주(102.8)보다 0.9포인트 내렸다. 이 지수는 중개업소 설문과 인터넷 매물 건수 등을 분석해 수요·공급 비중을 지수화(0~200)한 것으로, 기준선인 100을 넘어 높아질수록 수요가 공급보다 많다는 의미다. 9월 첫째 주 107.2에서 둘째 주 107.1로 내린 데 이어 주별로 104.2→102.9→102.8→101.9를 기록해 5주 연속 내림세를 보였다.

서울에선 직전 거래보다 내린 가격에 매매된 아파트 비중도 늘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회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토교통부를 통해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9월 서울 아파트 하락 거래 비중은 35.1%로, 전달인 8월과 비교해 14.3%포인트 늘었다. 올 들어 월 기준 최고치다.

헤럴드경제

매매가격지수 및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한국부동산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시장에 대한 판단은 정부 내에서도 엇갈리고 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5일 “최근 부동산의 가파른 오름세가 일단은 주춤하면서 꺾였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그 근거로는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부동산 가격 상승폭, 매매수급지수, 소비자동향지수(CSI) 내 주택가격전망지수를 들었다. 9월 주택가격전망지수는 128로 8월(129)보다 1포인트 떨어진 바 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좀 더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그는 12일 “주택 시장은 워낙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며 “장기적으로 안정될지 여부는 좀 더 지켜보는 게 낫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했다.

한국은행은 최근 공개한 ‘부동산 가격 상승의 원인’ 분석 자료에서 ‘매물 잠김’에 따른 주택 수급 불균형 우려가 계속된다면서, 입주물량 감소와 양도소득세 부담 증가 등을 그 원인으로 지목했다.

전문가들 역시 추세 전환을 속단하기엔 이르다고 보고 있다. 오름폭이 줄었을 뿐 여전히 상승 흐름이 지속되며, 집값을 자극할 만한 요인도 여전하다는 시각에서다.

임병철 부동산R114 리서치 팀장은 “금융 당국의 전방위적인 가계대출 조이기가 이어지면서 시장이 다소 위축되는 분위기지만 이런 상황만으로 상승 기조가 쉽게 전환되긴 어려운 상황”이라며 “수도권 아파트시장은 여전히 높은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고, 하락보다는 공급 감소에 따른 수급 불균형과 전세난, 대선 이슈 등으로 상승 요인이 더 많다”고 봤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일시적인 변동 수준을 바탕으로 전체 추세를 속단해선 안 된다”며 “특히 ‘집값이 꺾였다’는 정부의 주장이 이번이 처음이 아니었다는 점도 염두에 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헤럴드경제


y2k@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