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8 (목)

광고 결합판매 재설계…지역 시청권 훼손 우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지상파방송 3사와 중소지역방송사 간 광고를 연계 판매하는 '결합판매제도'란 게 있습니다.
방통위가 이 제도를 손보기 시작했는데, 적절한 대안이 마련되지 않을 경우 지역시청자 주권이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김대희 기자가 짚어 봤습니다.

【기자】

결합판매란 지역, 중소, 종교방송사 등의 광고를 지상파 3사가 연계 판매하는 제도입니다.

KBS, MBC 광고판매를 대행하는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는 지역MBC와 CBS 비롯한 종교방송 등을,

SBS M&C는 OBS를 비롯한 9개 민방 광고를 함께 파는 구조입니다.

문제는 지상파 수익.

2조원대던 광고는 10년 새 반토막이 났고,

결합판매도 60% 가까이 줄면서 지역방송 등의 살림살이는 바닥입니다.

방통위가 팔을 걷어붙였습니다.

공적재원 투입과 광고판매 촉진 방안 등 대책 마련을 위한 연구반을 꾸려 활동 중이고, 연말 최종 보고서를 내놓을 예정입니다.

[김현 / 방송통신위원회 부위원장: 방송의 공공성 제고와 지역성 발전, 지역민에 대한 양질의 방송서비스 제공이란 대원칙하에 결합판매제도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헌법재판소 결합판매 소송은 큰 변수입니다.

합헌이 나거나 헌법불합치면 제도개선과 법 개정까지 일정 정도 시간을 벌게 됩니다.

하지만 위헌이란 최악의 결과면 OBS 등 지역방송과 CBS, 불교방송 등은 즉각 고사 위기에 내몰립니다.

[김동원 / 전국언론노조 정책협력실장: OBS와 같이 100% 자체편성하는 방송사들 경우는 일반적인 방송사와는 다르게 결합판매에 대한 지원 후속대책이 나와야 된다고 봅니다.]

유일한 해법이 공적재원 활용이지만 정부는 이런저런 이유로 미뤄왔습니다.

[심영섭 / 경희사이버대 교수: 문화체육관광부의 지원됐던 예산이 일반예산으로 편성될 필요가 있고요. 그게 단기적이라면 장기적으로 볼 수 있는 건 별도의 기금을 마련하는 방법인데요. 별도의 기금을 마련하는 건 입법체계도 바뀌어야 되고 또 소관 사업자들과의 이해 관계도 (필요합니다.)]

지역민 목소리를 반영하고, 시청자 주권 보호를 실천해 온 지역과 중소방송사들.

지속가능할 수 있도록 정책기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OBS뉴스 김대희입니다.

<영상취재 최백진 / 영상편집 유영석>

[김대희]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