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비싼 머크, 실패한 로슈...코로나19 치료제 개발 후발 주자에 가능성 열리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로슈 2상 실패·머크 고비용 논란

국내 후발주자 틈새시장 공략 기대

"가능성 적지만 '성공 경험' 중요"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치료제 시장 선점을 두고 경쟁하던 글로벌 제약사 로슈가 임상 2상에서 실패했다. 당분간 시장 독점이 유력해진 머크(MSD)의 경구용 치료제는 비싼 약값 부담이 논란이다. 이처럼 코로나19 치료제 선두 주자들이 '삐끗'한 사이 후발 주자인 국내 제약사들의 기대감은 다시 커지고 있다. 치료 효과와 시장성을 확보한다면 남아 있는 틈새 시장을 공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현실적으로 임상 통과가 쉽지 않아 획기적인 치료제가 아니고서는 갈수록 개발 동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남아있다.

로슈와 함께 코로나19 치료제를 개발하던 미국 아테아 파마슈티컬스는 지난 19일 홈페이지를 통해 임상 2상 중이던 'AT-527'가 경증 및 중등도 코로나19 환자들의 바이러스 양을 줄이는 데 실패해 주요 효능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번 임상은 임원하지 않은 경증 또는 중등도 환자 220명을 대상으로 5일 동안 두 차례 AT-527와 위약을 투약했다. 하지만 위약과 비교해 뚜렷한 코로나19 항바이러스 감소 효과를 보지 못했다. 아테아 측은 위약 대비 큰 효과를 입증하기 어려웠던 이유로, 비교적 건강한 경증 환자의 비중이 높았던 것을 꼽았다. 이에 따라 주요 효능 평가 변수와 환자 모집단을 수정해 임상 3상에 재도전한다고 밝혔다. 상용화는 연내 목표에서 2022년 하반기 중으로 늦어질 전망이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편, 세계 첫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로 상용화가 임박한 머크의 ‘몰누피라비르’는 전 세계에서 선구매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 미국, 영국, 호주 등을 비롯한 전세계 10개 국가가 벌써 구매 계약을 체결했거나 계약 협상을 진행 중이다. 한국 이미 몰누피라비르 2만 명분을 선구매 계약했고 내년 1~2월 국내 사용을 목표로 머크, 화이자 등과 추가 구매를 추진하고 있다. 영국은 이미 대규모 임상 3상이 진행 중인 화이자 코로나19 치료제 25만 명분의 선구매를 시작했다.

다만, 가격이 관건이다. 몰누피라비르 한 세트는 200mg 캡슐 4정을 하루에 두 번, 5일 동안 총 40알 복용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데, 미국 기준으로 이 한 세트에 700달러(82만 원)에 달한다. 세계보건기구(WHO)를 비롯해 각국 정부에서 구매 비용 부담에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절대적으로 부담스러운 수준이다. 몰누피라비르는 오는 11월 30일 미국 식품의약국(FDA) 외부 자문단 회의를 통해 승인 여부가 결정될 전망이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몰누피라비르의 가격 논란에 로슈의 임상 실패가 더해지자, 국산 코로나19 치료제를 개발하는 제약사들은 반색했다. 한 제약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대형 제약사의 코로나19 치료제 출시가 늦어지고, 가격이 비쌀수록 뒤따르는 약품이 시장에서 확보할 수 있는 자리가 더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국내에서 가장 임상 단계가 앞서 있는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는 신풍제약(019170)의 피라맥스다. 임상 3상을 진행 중으로 최근 글로벌 임상에서 투약을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웅제약(069620)은 이달 중으로 임상 2b상 종합 결과를 발표하면서 3상 진입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아미코젠(092040)파마는 지난 15일 임상 2a상 임상시험 계획을 승인받았고, 진원생명과학(011000), 크리스탈지노믹스(083790) 등도 2상 임상을 승인받았다.

다만, 시간이 갈수록 치료제 개발을 포기하는 제약사도 늘고 있다. 부광약품(003000), GC녹십자, 일양약품(007570) 등이 대표적이다. 이처럼 현실적으로는 개발에 성공하고 시장에서 살아남을 가능성도 시간에 따라 줄어들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승규 바이오협회 상임부회장은 "코로나19 발생 직후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에서만 치료제 후보 물질이 60여개 나왔지만, 현재까지 임상을 진행하고 있는 약품은 극히 소수일 정도로 상용화는 어려운 게 현실"이라면서도 "하지만, 코로나19라는 특수 상황 속에서 글로벌 제약사와 경쟁을 통해 새로운 치료제를 완성해본다는 성공의 경험을 위해서라도, 자본력과 임상 규모가 부족한 국내 제약사에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이재명 기자 nowlight@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