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테슬라, LFP 배터리 확대 파장… 국내 3사 선택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中 주력 배터리로 일부 교체 선언

원자재값 상승에 가격부담 영향

NCM 배터리 집중 LG엔솔 등

LFP 배터리도 생산 추진 나설 듯

韓·中 기술 주도권 싸움 가열 예상

세계일보

사진=AP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근 테슬라가 중국 배터리 기업의 주력 제품인 리튬인산철(LFP) 배터리의 확대 적용을 밝히면서 업계에 파장이 커지고 있다. 원자재 가격 상승과 맞물려 중국 주도의 배터리 기술 확산이 어디까지 이어질지 관심이 쏠린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그동안 NCM(니켈·코발트·망간) 등 삼원계 리튬이온 배터리에 집중해온 LG에너지솔루션이 25일 열릴 LG화학의 3분기 실적 발표에서 LFP 배터리 개발 관련 입장을 밝힐 것으로 보인다. 지동섭 SK온 사장은 이달 초 외신 인터뷰에서 LFP 배터리 생산을 공식 언급했다. 배터리 소재 기업인 포스코케미칼은 “LFP 관련 연구는 마무리했고, 시장 요구와 중국 대비 원가 경쟁력 등을 고려해 사업화를 검토하고 있다”고 했다. 다만 삼성SDI는 “LFP 배터리 개발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는 입장이다.

LFP 배터리는 중국 배터리 기업인 CATL이나 BYD에서 주로 채택해 왔다. 글로벌 에너지컨설팅업체 우드매킨지의 지난해 보고서를 보면 LFP 배터리는 2015년 배터리 시장의 점유율 10%에 불과했으나 점차 비중이 확대되 2030년에는 3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NMC 배터리는 같은 기간 점유율 70%에서 30%선까지 떨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시장 변화를 부추긴 주요 원인으로는 원자재 가격 폭등이 꼽힌다. NCM 배터리의 주원료인 니켈, 코발트, 망간의 경우 올해 들어서만 가격이 20∼180%가량 폭등했다. 이 때문에 NCM 대비 가격이 20∼30%가량 저렴한 LFP 배터리의 매력도가 더 높아졌다. 여기에다 최근 NCM 배터리를 주로 쓴 한국 배터리의 화재로 인한 위험성이 부각되면서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안정적인 LFP 배터리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졌다.

테슬라가 지난해부터 일부 모델에 LFP 배터리를 사용하고, 지난 21일(현지시간) 스탠더드 모델의 배터리를 삼원계에서 LFP로 교체한다고 공식 발표한 것도 LFP 배터리 대세론에 힘을 싣는다. 다만 테슬라도 장거리·고성능 모델은 삼원계 배터리를 유지할 방침이다. 개발설만 무성한 애플카도 LFP 배터리를 검토하고 있다는 외신 보도가 나온 바 있다.

세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최근 시장의 반응도 달라지고 있지만 아직 LFP 배터리가 NCM 배터리의 아성을 위협하기에는 부족하다는 평이 우세하다.

배터리 업계 한 관계자는 “LFP 배터리가 안정적이고 저렴하다고 하지만 결국 원자재 가격 상승에 똑같이 영향을 받으며, 중국 LFP 배터리도 여러 차례 화재가 발생한 적이 있어 안정성 면에서도 절대적이진 않다”며 “한국 배터리 기업들은 GM, 포드, 스텔란티스 등 세계 주요 자동차 기업과 배터리 합작사를 설립한 만큼 향후 시장에서도 주도권을 잡고 기술을 선도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조병욱 기자 brightw@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