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아무튼, 주말] 2030 울린 어느 할머니의 ‘취준생 분투기’, 주인공 순자씨는 ‘별’이 되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60대 여성 이순자씨 논픽션

독자들 심금을 울린 이유

조선일보

일러스트=안병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 어떤 기사에도 나오지 않았던 세상을 본 기분이네요.” “세상의 민낯과 그 민낯을 대하시는 작가님의 모습을 따뜻하고도 슬프게 읽었어요.”

지난 16일 트위터 등 소셜미디어와 인터넷 커뮤니티에선 ‘실버 취준생 분투기’란 글이 화제가 됐다. ‘심금을 울리는 글’이라며 빠르게 퍼졌다. 이순자씨가 쓴 이 글은 ‘제7회 매일시니어문학상’ 논픽션 부문 당선작이다. 심사를 맡았던 이인화(소설가) 위원장은 본지 통화에서 “실감이 살아 있고, 경험의 디테일이 아주 돋보인 작품”이라며 “예년 같았으면 대상이 되고도 남았을 텐데, 올해 출품작들 수준이 높아 당선작에 그쳤다”고 말했다.

‘이 글은 내가 62세부터 65세까지 겪은 취업 분투기다’란 문장으로 시작한다. 1953년생인 이씨는 평생을 종갓집 맏며느리로, 두 아이 엄마로 살다가 황혼 이혼을 했다. 하고 싶던 문학 공부를 위해 대학에 진학했다. 미술·문학·음악·상담 치료 등의 자격증이 있고, 20년 이상 호스피스 경력도 있다. 그러나 구직 시장에서 노년 여성의 모습은 초라했다. 그녀는 ‘늘그막에 먹고살기 위해 학력과 이력을 속인 내 인생은 아이러니’라고 회고했다. 그녀는 이력이 화려하면 채용이 어렵다는 시청 직원의 말에, 화려한 이력서를 구겨버렸다. 그녀의 이력서엔 한 줄만 남았다. ‘중졸’.

첫 직장은 세탁 공장이었다. 수건을 접고 묶는 일을 하게 됐다. 단순 노동은 생각보다 쉽지 않았다. 첫 취업은 닷새 만에 끝이 났다. 힘에 부쳐 못하겠으니 그동안 일한 임금을 달라고 사장에게 보낸 문자메시지엔 답이 없었다. 다음 일은 백화점 청소였다.

‘변기 뚜껑에 입이 닿도록 코를 박고 변기 몸통을 닦고, 뚜껑을 닦고, 변기 속을 닦으면서 이 일로 밥을 먹을 수 있음에 감사하자고 중얼거린다.’

그러나 심장병, 퇴행성 관절염 등을 앓고 있는 그녀에게 이 일은 벅찼다.

이번엔 건물 청소를 소개받았다. 주차장 6개층, 1~8층 비상계단, 남자화장실 청소가 그녀의 일이었다. 이 일은 더 힘들었다. 용역 회사에 세 사람이 해도 못할 일을 어떻게 한 사람에게 시키냐며 따졌다. ‘대충하지 그랬냐’는 답이 돌아왔다. 얼마 안 돼 ‘병원 청소 해보실래요?’란 일자리 소개 문자가 왔다.

‘뉴스에 나오는 취업률이 진짜일지 의심스럽다. 이런 식으로 한 사람을 한 달에 몇 군데씩 돌리면 취업률은 가파르게 오를 것이다. 탁상공론이거나 짜고 치는 고스톱, 둘 중 하나일 것 같다.’

어린이집 일자리를 구했다. 아이들을 보며 위안받았지만, 시급 4000원도 안 되는 돈을 주며 이 일 저 일 부려먹는 원장은 얄미웠다. 그러다 누런 쌀, 오래된 고등어, 무른 채소를 갖고 밥을 지으라는 원장과 충돌했다.

‘굶어 죽어도 이렇게 아기들에게 부당한 일은 할 수 없다. 저 어린 아기들에게 이런 걸 먹이다니. 부모들이 알면 당장 잡혀갈 일이다.’

인터넷으로 11개월 된 아기를 돌보는 일을 찾았다. 식모 부리던 버릇이 몸에 밴 할머니와 사사건건 부딪쳤다. 그만두겠다고 하니 할머니는 성을 냈다.

“이 사람이 말귀를 못 알아듣네. 박카스 파는 것보단 이게 훨씬 떳떳하지” “네? 박카스를 팔다니요.” “자네처럼 얼굴 반반한 할마시들이 박카스 사세요, 하면 할아버지들이 오천원, 만원으로 몸도 산다잖아. 그것보다는 우리 집에서 일하는 게 백번 낫지 않겠어?”

그날 밤 그녀는 극단적인 선택을 시도했다.

‘무엇을 위해 그리 열심히 살았던가. 밤새 싸우고도, 죽게 아플 때도, 남편의 바람으로 일주일 굶으면서도 식구들 밥은 악착같이 차렸다. 밥을 하는 일을 나는 생명을 지키는 일이라고 믿었을까?’

술에 취한 채 동창에게 전화를 걸었다. 이상한 낌새를 눈치챈 동창이 그녀를 살렸다.

‘나는 어쩌다 어디에도 속하지 못하고 세상을 등지려 했을까? 고생을 모르고 살아서?라고 생각하다 결혼 생활 내내 남편 때문에 마음고생한 생각이 떠올라 억울했다. (중략) 아직은 보이고 싶지 않은 내 치부여서 내어놓지 못한다. 내 아이들이 받을 상처 때문이다.’

이후 요양보호사와 장애인 활동보조인 교육을 받고 노인·장애인·환자들을 돌봤다. 힘든 형편에 놓인 사람들을 돌보며 애잔함을 느꼈고, 동시에 ‘갑질’하는 이용자들에게서 부조리를 느꼈다. 한 남성 환자에게 성추행을 당하기도 했다.

‘이용자는 숨쉬기 힘들면서도 가까이 가면 또 허리를 더듬었다. (중략) 숨이 깔딱거리면서도 성추행하는 이용자를 만나면 분노가 치민다.’

그녀의 글은 이 열 번째 일자리를 마지막으로 끝을 맺는다. 그녀는 에필로그에서 ‘기초수급자가 돼 글에만 몰두할 수 있게 됐다. 감사한 일’이라고 했다.

글의 반응은 뜨겁다. “여성 노인에게 구직 시장이 얼마나 가혹한지, 그들이 얼마나 쉽게 인간의 존엄을 거스르는 경계로 내팽개쳐지는지. 그리고 그들이 어떤 감정으로 이 현실을 살아내고 있는지. 이 모든 것이 날것으로 담겨있다” “너무 흡인력 있고 힘 있는 글이라 단숨에 읽어 내려갔다. 여전히 이 집 저 집 일을 다니는 우리 엄마의 모습이랑도 겹쳐져서 마음이 아리다” 등의 감상평이 쏟아졌다.

적지 않은 독자들이 그녀의 작가로서의 삶을 응원했지만 안타깝게도 그녀는 지난 8월 30일 갑작스레 세상을 떠났다. 유족은 “심근경색으로 주무시다가 돌아가셨다”고 전했다. 그녀의 봉안당에는 매일시니어문학상·구상솟대문학상 상패가 담겼다. 유족은 “글에 관심을 가져줘서 감사드린다”면서도 인터뷰는 사양했다. 매일신문 관계자는 “유작이 여러 편 있다고 한다. 동창들이 유고집을 준비한다고 들었다”고 했다. ‘실버 취준생 분투기’는 매일신문 홈페이지(news.imaeil.com)에서 읽을 수 있다.

[이옥진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