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더듬이 바짝 세운 서학개미…성장주 다음은 NFT·메타버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돈이 보이는 창]

해외 증시 상대적 유리…투자 유망국가 '미국'

NFT 등 테마형, 경기 정상화 속 리오프닝 주목

[이데일리 이은정 기자] 주요 증권사들이 내년에는 국내보다 해외 증시에서 수익률을 내기 유리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관련 상장지수펀드(ETF) 전략에도 관심이 쏠린다. 투자 유망 국가로는 미국이 꼽힌 가운데 인플레이션과 통화정책, 글로벌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라 성장주를 담은 ETF를 보란 조언도 따른다. NFT(대체불가능토큰), 메타버스 테마형 종목과 정상화 속 성장이 기대되는 리오프닝과 리츠 ETF도 주목된다.

이데일리

최근 이데일리가 증권사 리서치센터 10곳에 의뢰한 결과 8곳이 국내보다 해외 증시에서 수익률을 내기 유리할 것으로 판단했다. 포트폴리오 다양화 측면에서 유망한 국가로는 미국(7곳)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 외 유럽, 중국, 동남아시아 등이 있었다.

올해 해외 주식형 펀드 자금 흐름을 권역별로 살펴보면 북미에 압도적으로 몰린 양상이다. 28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연초 이후 북미 주식형 펀드에만 3조9435억원이 유입됐다. 다음으로 유입 자금이 많은 아시아퍼시픽(+590억원), 유럽주식(+21억원)과는 격차가 크다. 나머지는 모두 자금이 빠져나갔다.

이중 ETF는 글로벌 시장에서 전방위적으로 덩치를 키우고 있지만 내년 증시 변동성에 따른 전략을 짜야 한다는 조언이 따른다. 내년에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북미도 최근 들어 ETF로의 자금 유입이 다소 주춤한 모양새다. 하나금융투자에 따르면 이달 17일 기준 북미 주식형 ETF 시장 자금 유입 규모는 3주 전(226억9000만달러) 대비 3분의 1 수준(71억5000만달러)까지 감소했다.

소비와 고용을 비롯한 미국 경제지표 호조세와 인플레이션 우려가 공존하며 중장기 펀더멘털에 대한 부담감을 키우고 있다는 진단이다. 이를 감안하면 내년엔 성장주에 우호적인 흐름이 이어질 거란 의견도 제시된다. 미 증시에 상장된 주요 ETF 중 대형 기술주 중심의 ‘XLK’, 주요 성장주 중심의 ‘SPYG’와 ‘IVW’ 등을 들었다.

박승진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기대인플레이션 하락 영향과 중장기 펀더멘털 전망, 이미 채권시장에 선반영된 금리인상(내년 2.5회)을 고려하면 상대적으로 성장주에 우호적인 시장 흐름이 이어질 전망”이라고 말했다.

개인 투자자들의 정보 접근성 확대와 상품 다양화 속에 테마형 ETF 규모도 쑥쑥 커지고 있다. 글로벌 엑스와 유진투자증권에 따르면 미국 테마형 ETF 운용자산(AUM)은 2019년 말 273억달러에서 올해 10월까지 1400억달러 수준으로 5배 증가했다. 연초 이후 AUM이 2배 이상 증가한 테마로는 블록체인, 전기차, EM 인터넷 등으로 집계됐다.

이베스트투자증권은 내년에 주목할 ETF 테마로 최근에도 강한 주가 모멘텀을 보인 NFT(대체불가능토큰), 메타버스를 선정했다. 팬데믹 이후 정상화 과정에서 회복·성장이 예상되는 리오프닝, 리츠 관련 종목에도 선별 접근하란 의견을 제시했다.

서학개미들의 테마형 ETF 투자도 활발해지고 있다. 한국예탁결제원 세이브로에 따르면 26일 기준 최근 1개월 새 국내 투자자들의 미국 순매수 상위 ETF 1위는 ‘라운드힐 볼 메타버스’다. 이어 나스닥 100 지수 수익률을 추종하는 ‘인베스코 QQQ 트러스트’, ‘프로쉐어 울트라 QQQ’, ‘글로벌X 리튬&배터리테크’ 등이 이름을 올렸다.

박지영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블록체인, 가상화폐, 비트코인, 이더리움, NFT등 확장성은 무궁무진하지만 아직 초기 단계로 대중화 단계까진 이르지 못한 것으로 판단한다”며 “수많은 기업들이 관련 준비를 활발히 하면서 내년 이후 주류 성장 모멘텀으로 자리잡을 전망이다”고 말했다.

증시 변동성 속 수익 안정성을 지킬 수 있는 고배당 ETF도 대안이다. 미 증시에서 지난해 기준 연 배당 수익률이 7%대를 기록한 ETF로는 미국 BDC 주식을 담은 ‘밴에크 BDC Income’(BIZD), ‘JP모건 에쿼티 프리미엄 인컴’(JEPI) 등이 있다.

이데일리

[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