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이경우의 언파만파] 음역어/어문부 전문기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음역’(音譯)은 음(소리)으로 번역한다는 뜻이다. 뜻글자 한자를 사용하는 중국에서 나올 수 있는 말이다. 다른 언어를 번역할 때 의미와 상관없이 소리를 한자로 적는 걸 중국인들은 ‘음역’이라고 했다. 인명과 국명 등 고유명사가 대표적인 음역어(音譯語), 즉 “소리로 번역한 말”이었다.

‘유나이티드 스테이트스 오브 아메리카’(United States of America)를 ‘미리견합중국’(美利堅合衆國)이라고 옮겼다. 줄여서 ‘미합중국’(美合衆國), ‘미국’(美國), ‘미리견’(美利堅)이라고도 했다. ‘미리견’은 ‘아메리카’를 옮긴 것인데, 중국 음으로 적으면 ‘메이리젠’이 된다. ‘미국’은 ‘메이’(美)에 나라를 뜻하는 ‘궈’(國)를 붙인 것이다. 중국은 ‘유나이티드 스테이트스 오브 아메리카’를 음역해 ‘메이궈’라고 불렀고, 우리는 우리 한자음으로 들여와 ‘미국’이라고 했다.

‘영국’(英國)은 ‘잉글랜드’(England)에서 유래했다. 중국은 ‘잉글랜드’를 음역하면서 ‘영길리’(英吉利), ‘영길리국’(英吉利國), ‘영격란’(英格蘭)이라고 했다. 영격란을 다시 줄인 말은 ‘영란’(英蘭)이었다. ‘영길리’는 중국 음으로 ‘잉지리’, ‘영격란’은 ‘잉거란’, ‘영란’은 ‘잉란’이 된다. ‘잉글랜드’와 비슷하게 들린다. 우리 한자음과는 멀지만, 중국 음으로는 가까워 음역이라 할 만하다. 근대 시기 한자를 이용한 음역어는 이렇게 만들어졌다. 역사적 이름들이 됐다.

‘독일’은 일본에서 만들어졌다. 일본은 ‘도이칠란트’(Deutschland)에서 앞쪽(Deutsch)을 떼어 ‘獨逸’로 적고 ‘도이쓰’라고 읽었다. 중국에선 ‘덕국’(德國ㆍ더궈)이라고 옮겼다.

지금까지 전하는 일상의 말엔 ‘섭씨’와 ‘화씨’가 있다. 섭씨는 고안자인 스웨덴의 셀시우스(Celsius)의 음역어 ‘섭이사’(攝爾思)의 첫 글자에 ‘씨’(氏)를 붙인 것이다. ‘화씨’도 고안자인 독일의 파렌하이트(Fahenheit) 음역어 ‘화륜해’(華倫海)에서 왔다. 근대 서양은 중국과 일본을 통해 우리에게 전해졌다. 말에서도 이렇게 보인다. 그들의 시각과 틀이 담겼다.

프랑스인 ‘불국’은 사라졌고, 프랑스어 ‘불어’는 남았다. 이탈리아를 가리키는 ‘이태리’는 지워져 간다. 러시아를 뜻하던 ‘아국(俄國), 로서아(露西亞), 아라사(俄羅斯)’ 같은 말도 사라졌다. 서양과 직접 접하면서 자연스런 현상이 됐다.

사라진 것 같지만 그러지 않은 말도 있다. ‘영란’은 경제용어 속에서 고개를 내민다. 영국 중앙은행을 ‘영란은행’으로 소개한다. 한국은행이 내놓는 자료들도 오래도록 영란은행이다. 일상의 눈으로 보면 먼 옛날의 이야기 같다.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wlee@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