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방송사 삼킨 'OTT' 전성시대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일요시사 취재2팀] 함상범 기자 = OTT 드라마를 보다 보니 기존 방송사 드라마를 보기 어렵다는 말이 나온다. OTT 드라마가 가진 신선한 소재와 파격적인 장면, 다양한 의미가 집약된 스토리, 그로 인한 빠른 템포, 몰입감을 떨어뜨리는 PPL의 거세 등이 이유로 꼽힌다. 아무리 스타 배우가 출연해도 화제성이 미비한 방송사 드라마와는 달리, 신인이 단숨에 할리우드에 진출할 기회도 마련된다. OTT가 방송사 드라마를 집어삼키고 있다.

일요시사

김고은의 립밤 PPL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드라마 업계에서 흔히 하는 말로 ‘제작자 위에 광고주가 있다’고 한다. PPL(Product PLacement)로 광고비를 대는 광고주의 요구가 세밀화되면서 드라마 내에서 제품이 눈에 띄는 현상이 늘어났다. 작품의 스토리와는 무관하거나, 지나치게 비슷한 장면이 반복되고, 또는 현실과는 동떨어진 대사와 행동이 나오는 것 등이다.

스타도 무릎

상견례를 돈가스 가맹점에서 한다거나, 느닷없이 제품의 인서트 컷이 잡히고, 또는 제품의 세부 내용을 대사로 설명한 것이 그 예다. tvN <빈센조>에서는 국내에서는 볼 수 없는 중국 제품이 등장하기도 했고, <지리산>에서는 가장 가까운 지점이 72km 떨어져 있는데, 그곳에서나 파는 빵을 먹는 장면으로 비난을 받았다.

SBS <지금, 헤어지는 중입니다>(이하 <지헤중>)의 송혜교는 패션쇼를 한다고 비판받고 있고 <유미의 세포들>의 김고은은 자신이 모델로 활동 중인 화장품 광고를 연상시키는 장면을 무수히 찍어냈다.

드라마 제작사나 방송사는 적자라는 이유를 방패 삼아 시청자들의 불만을 알면서도 무리한 PPL을 감행했다. OTT 드라마가 활성화되면서 독으로 작용하고 있다.

최근 넷플릭스 <오징어 게임>을 비롯해 <D.P.> <마이 네임> <지옥>에 이르는 지속적인 성공과 함께 웨이브 오리지널 <이렇게 된 이상 청와대로 간다>, 티빙 오리지널 <술꾼도시여자들> 등 국내외 OTT 드라마들이 선전을 지속하는 가운데, 기존 방송사 드라마에 대한 거부감은 점점 커지고 있다.

전지현의 <지리산>, 송혜교의 <지헤중>이 시청률 8~9%(닐슨코리아)로 최악의 수치는 아니지만, 국내 최고 스타가 출연한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 성적이다. 이외의 현대극은 2~3%를 기록 중이다. 오히려 PPL이 없는 사극 MBC <옷소매 붉은 끝동>과 KBS2 <연모>가 10%에 육박한 시청률로 기대 이상의 선전 중이다.

그런 가운데 월 가입비를 받아 굳이 PPL을 사용하지 않는 OTT 오리지널 드라마는 연전연승 중이다. 국내를 넘어 해외에서 찬사가 이어지고 있다. <오징어 게임> 이후 모든 작품이 세계 1위를 찍었다.

OTT 드라마에는 특정 제품이 들어가기는 하나 노골적으로 드러내지는 않는다. 작품의 상황에 맞게 제품을 이용할 뿐이다. PPL 때문에 쓸데없는 장면이 삽입되는 걸 용납하지 않는다.

이는 분량과도 접목된다. 기존 방송사의 경우 대체로 60분 내외의 16부작으로 드라마를 편성한다. 이야기의 범위와 상관없이 제도화된 형태로 드라마를 만드는데, 이는 그만큼 많은 양의 광고를 삽입할 수 있다는 것에서 제작사와 방송사 간의 암묵적인 합의가 이뤄졌기 때문이다.

덕지덕지 붙은 PPL 느슨한 스토리
자극적이면서 짜임새 있는 이야기


반대로 OTT는 내용에 따라 분량이 나뉜다. 1화가 1시간이라 하더라도 2화는 40분일 수 있다는 것. 실제로 <마이 네임>은 회차에 따라 45분도 있고, 58분도 있다. 대체로 회차당 60분으로 제작한 <오징어 게임>의 8화는 32분이다.

PPL을 거세한 OTT는 다양한 의미가 집약된 장면으로 이어지는 빠른 템포의 스토리를 내세우는 반면, 기성 방송사는 PPL을 덕지덕지 붙일 뿐 아니라 규격화된 형태를 맞추기 위해 굳이 필요없는 장면도 삽입해가며 드라마를 만들고 있다.

OTT 작품의 빠른 템포에 적응한 시청자들은 조금만 느슨한 장면이 나와도 불편함을 느낀다.

일요시사

tvN <지리산> 토스트 PPL ⓒtvN


국내 제작사 관계자는 “드라마 속 PPL은 제작사의 욕심에 기인한다. PPL이 없어도 드라마는 제작할 수 있다. PPL은 다다익선이며, 일종의 드라마 장면을 팔아서 돈을 버는 행위”라며 “PPL이 몰입감을 저해한다는 비판이 커지는 현 상황에 업계 전체가 논의를 통해 변화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OTT 드라마는 대체로 자극적인 소재를 활용한다. 선혈이 낭자하거나, 파격적인 분장도 서슴지 않는다. 때론 선정적이고 폭력적인 장면도 있지만, 장르물의 특성을 살리기 좋은 구조다. 그에 비해 방송사 드라마는 제약들이 난무한다.

담배를 예로 들면 <D.P.>의 박범구(김성균 분) 중사는 고민이 생길 때마다 담배에 불을 붙인다. 담배가 백해무익하긴 하나, 스트레스가 심한 그의 포지션을 미뤄볼 때 매우 자연스럽다.

기성 방송사에서는 담배에 불을 붙이는 것 자체를 금지한다. 손에 들고 있을 때는 블러 처리를 한다.

<미생>의 경우 담배 피우러 옥상에 올라갔다 담배를 집어던지고 내려오는 장면도 있었다. <응답하라 1988>에서는 바둑판의 치열한 경쟁에 압박감을 느끼는 최택(박보검 분)과 서울대생으로 시위에 가담한 성보라(류혜영 분)의 흡연 장면을 냈다가 방송통신심의원회로부터 권고 조치를 받았다.

국민 대다수가 즐기는 기호식품인 담배마저 이 정돈데 <오징어 게임>에서 사람들이 난사당하는 장면이나 <마이 네임> 속 도강재(장률 분)의 파격적인 분장, <D.P.>의 조석봉(조현철 분) 얼굴에 뿌려진 피 칠갑은 상상할 수도 없다. 기존 방송사와 OTT 드라마 간에 공정한 경쟁은 이미 무너진 셈이다.

무너진 경쟁

제작사 관계자는 “아동과 청소년을 보호한다는 측면에서 규약이 필요하긴 하지만, 상식을 넘어서는 수준으로 제약을 받고 있다. 방송사 경쟁력을 보호하는 차원에서 드라마 수위를 끌어올릴 필요는 있다”고 말했다.

<intellybeast@ilyosisa.co.kr>

저작권자 ©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