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또 덮친 헝다 공포…중국 주식 손절이냐, 버티기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투데이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 로고가 보인다. 로이터연합뉴스


중국이 또다시 헝다그룹 파산 위기라는 회오리에 휩싸였다. 헝다그룹이 사실상 디폴트(채무 불이행) 상태에 빠지면서 중학개미(중국 증시에 투자하는 국내 투자자들)의 불편한 시간이 길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중국 경제 전반에 얼마나 악영향을 끼칠지는 좀 더 두고 봐야 한다며 신중론을 내비치고 있다.

지난 7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헝다그룹은 미국 현지시간 6일까지 반드시 지급해야 하는 달러채권 이자 8249만 달러(약 976억 원)를 지급하지 않았다. 30일간의 유예기간에도 이번에 또다시 돈을 갚지 못했다.

회사 측은 미지급에 관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이에 공식 채무 불이행이란 최악의 사태가 올 가능성이 불거지고 있다.

헝다그룹은 지난 3일 밤 2억6000만 달러(약 3075억 원) 채무 보증 이행이 어려울 수 있다고 홍콩거래소에 공시한 바 있다.

3000억 달러(약 360조 원)의 천문학적 빚을 진 헝다그룹이 파산 또는 법정관리 문턱에 들어서면서 중국 경제와 증시에 어떤 후폭풍이 불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중국은 미국과 해외 투자의 양대 산맥인 만큼 국내 투자자들에게 상당한 파장을 줄 것으로 보인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 6일 기준 국내 투자자들이 보유한 중국 주식은 상해홍콩증시연계 15억9131만 달러, 심천홍콩증시연계 9억756만 달러, (R)QFII 투자 1억6972만 달러, 중국 B주 279만 달러로 집계됐다. 매매기준율(1175.50원)로 단순 계산하면 3조1400억 원에 달하는 규모다.

중국 주식에 직접 투자한 국내 투자자들은 올해 이렇다 할 만한 성과조차 내지 못한 상황이다. 가장 많이 보유한 항서제약(4억1285만 달러), 귀주모태주(1억6446억 달러) 등의 주가는 여전히 연초 대비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자들의 고민은 깊어지고 있다. 당장 중국 주식을 손절매해야 하는지, 아니면 버텨야 하는지 선택하기 어려운 형국이 됐기 때문이다.

홍록기 키움증권 연구원은 “헝다그룹 채무 불이행 우려가 현실에 가까워지고 있다”면서 “지금은 낙관과 비관 모두 경계해야 할 시기”라고 분석했다.

헝다그룹 파산 위기를 예의주시하며 중국의 지급준비율 인하 효과를 눈여겨봐야 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다만 지준율 인하가 증시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인지에 대해선 시각이 엇갈렸다.

앞서 중국의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오는 15일부터 은행 지준율을 0.5%포인트 인하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지준율 인하로 시중에 1조2000억 위안(약 222조 원)의 유동성이 불어날 전망이다.

홍 연구원은 “중국의 지급준비율 인하가 투자 심리를 회복하는 데 일조할 것”이라며 “다만 실질적인 효과는 매우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

박인금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지준율 인하가 증시에 미치는 영향은 중립적”이라며 “인하 이후 신용 확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박 연구원은 주목할 대목으로 중국의 부동산 규제 완화 분위기를 꼽았다. 그는 “최근 개인 담보 대출뿐 아니라, 부동산 개발 기업의 대출 규제가 완화되고 있다”면서 “기업 대출이 역성장에서 곧 벗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박수현 KB증권 연구원은 “지준율 인하는 부동산 규제 완화 신호”라며 “헝다그룹 충격은 점차 안정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또 “유동성 공급은 투자 심리 개선에 긍정적”이라며 “단기적 관점에서 부동산, 기계, 건자재, 가구, 가전 등에서 반등세가 나타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이투데이/박상재 기자 (sangjae@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