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0 (금)

이슈 G7 정상회담

G7, 중·러 맞서 공동전선 확대…한일 외교수장 첫 조우 가능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 5월 G7 외교개발장관회의

중국·러시아와 서구 국가 간 대립이 첨예해지는 가운데 주요 7개국, G7 외교 수장들이 한국과 아세안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 주요 국가들까지 모아 결속을 다지기로 했습니다.

G7 의장국인 영국의 리즈 트러스 외무부 장관은 G7 외교·개발장관회의를 주재하고 "글로벌 침략자들을 상대로 단합된 모습을 보여준다"고 영국 외무부가 현지시간 오늘 성명에서 밝혔습니다.

성명에 따르면 트러스 장관은 내일(12일)까지 리버풀에서 개최되는 외교·개발장관회의에서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의 태도를 포함해 악의적 행위에 맞서 공동 전선을 보여줄 것을 촉구할 예정입니다.

또, '자유의 국경'을 수호하기 위해 안보와 경제 지원을 약속하자고 촉구하기로 했습니다.

이번 회의에선 미얀마, 에티오피아 사태와 함께 이란 핵 회담도 논의됩니다.

G7은 이란이 핵 합의로 복귀할 기회를 잡아야 한다는 데 뜻을 같이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AP 통신은 기후 변화, 서부 발칸 반도, 아프가니스탄, 북한도 의제라고 전했습니다.

트러스 장관은 개발도상국 기반시설 투자 등과 관련해 자유와 민주주의에 기반한 공통된 기준들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이에 앞서 G7 정상들은 6월 콘월 회담에서 개도국 기반시설 격차 축소를 돕기 위해선 가치 중심적이고 협력적이며 시장 주도적으로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고 합의했습니다.

트러스 장관은 글로벌 기반시설과 기술 프로젝트에 더 깨끗하고 신뢰할만한 금융을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할 예정입니다.

중국이 아프리카에 돈을 빌려주는 방식으로 영향력을 발휘하는 데 맞서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앞서 영국은 아시아, 아프리카, 카리브해 개도국의 기반시설과 기술에 투자하는 기구 '영국국제투자'를 출범했습니다.

2025년까지 90억 파운드, 우리 돈으로 약 14조 원을 확보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이는 1948년 설립된 정부 소유 개발 투자은행인 CDC의 이름을 바꾸고 규모와 범위를 확장한 것으로, 세계적으로 경제, 안보, 개발 관계를 강화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라고 외무부는 밝혔습니다.

유럽연합 행정부 격인 집행위원회도 지난 1일 중국의 거대 경제권 구상인 일대일로 전략에 대응해 오는 2027년까지 세계 기반시설, 디지털, 기후 사업에 최대 3천억 유로, 우리 돈 약 400조 9천500억 원을 투자하는 '글로벌 게이트웨이' 전략을 밝혔습니다.

트러스 장관은 이번에 '아프리카 회복력 투자 액셀러레이터'도 출범시킵니다.

G7 개발 금융기관들을 모아서 아프리카에 투자할 때 돕는 것입니다.

이번 외교·개발장관회의는 지난 5월 런던 회의에 이어 두 번째로 대면으로 열립니다.

그 사이 영국의 수장이 트러스 장관으로 바뀌고 다음 G7 의장국인 독일의 안나레나 배어복 외교장관과 일본의 하야시 요시마사 외무상 등 새로운 얼굴들이 등장했습니다.

아세안 국가들도 처음 초대됐습니다.

초청국 참가 행사는 내일 개최됩니다.

정의용 외교장관과 하야시 외무상은 이날 리셉션과 만찬 등에서 조우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한일 양자 간 정식 회담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두 장관의 일정상 물리적으로도 쉽지 않다고 전해집니다.

교도통신은 "한일관계 악화를 이유로 정식 회담은 하지 않는 방향"이라고 어제 보도했습니다.

하야시 외무상은 취임 후 한 달이 지났지만, 아직 정 장관과 전화 통화도 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하야시 외무상은 오늘 오후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과 첫 대면 회담을 합니다.

(사진=외교부 제공, 연합뉴스)
안상우 기자(asw@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