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30 (토)

이슈 추가경정예산 편성

[view] 당장 100조 추경? 이재명·윤석열, 퍼주기 공약 경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여야의 퍼주기 공약 경쟁이 달아오르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 확산 위험이 커지자 양당은 지원 금액을 더 늘리겠다며 주도권 다툼에 한창이다.

지난 10일 경북 경주를 방문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는 “100조원 지원 얘기가 이미 야당에서 나왔다”며 “국민이 더 이상 고통받지 않도록 곧바로 여야 협상에 나서서 이번 임시회를 소집해 추경(추가경정예산)을 통해 할 수 있는 일들을 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날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도 강원도 강릉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추경은)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며 “여당이 문재인 대통령을 설득해 정부 예산안을 먼저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한 달 전 윤 후보가 “자영업 손실 보상에 50조원을 투입하겠다”고 한 걸 두고 같은 당 김종인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은 지난 7일 “부족하다”며 100조원으로 늘렸다. 이제 두 후보 모두 100조원 추경 굳히기에 들어갔다.

자영업 손실보상 100조 땐, GDP 대비 나랏빚 비율 55% 위험수위

내년 예산(607조7000억원) 6분의 1에 해당하는 돈을 더 쏟아붓겠다는 얘기다. 내년 보건·복지·고용 예산(217조7000억원)의 절반에 가까운 금액이다. 교육 예산 총액(84조2000억원)을 한참 뛰어넘을 뿐 아니라 국방 예산(54조6000억원)의 2배에 육박한다.

정작 재정 상황은 50조원, 100조원을 여유롭게 외칠 수준이 못 된다. 지난 3일 국회를 통과한 내년도 본예산을 보면 정부 총수입은 553조6000억원으로 총지출(607조7000억원)에 한참 못 미친다. 모자라는 54조1000억원(통합재정수지 적자)은 고스란히 빚을 내 메우기로 돼 있다.

중앙일보

빠르게 늘고 있는 국가 채무.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100조원 손실보상에 쓸 여윳돈은 당연히 없다. 올해와 같은 예상 밖 초과 세수를 기대할 상황도 아니다. 지난 9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재정동향’에 따르면 올해 10월 국세 수입은 32조9000억원으로 1년 전과 비교해 6조2000억원 줄었다. 전년 대비로 월별 세수가 올해 들어 처음 감소했다. 정부의 과소 추계, 예상 밖 경기 회복으로 계속되던 초과 세수 행렬이 끝나간다는 신호다.

100조원 추경이 아니더라도 국가채무는 이미 위험 수준에 올라서 있다. 내년 본예산만을 기준으로 해도 국가채무는 처음으로 1000조원을 넘어선다(1064조4000억원). 연간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도 처음 50%에 도달한다.

만약 소상공인 지원에 필요한 재원 50조원 전액을 적자 국채 발행(채무 증가)으로 마련한다면 내년 국가채무는 1114조4000억원으로, 채무 비율은 52.3%로 2.3%포인트 상승하게 된다. 100조원 국채를 발행한다면 국가채무는 1164조4000억원으로, 채무 비율은 54.7%로 5%포인트 가까이 치솟는다. 단숨에 채무 비율이 50%대 중반으로 올라선다.

국회예산정책처(예정처)는 ‘중기재정전망’에서 2027년이면 채무 비율이 60%대(60.1%)로 처음 올라선다고 예상했다. 채무 비율 60% 선은 국제신용평가사에서 비기축통화국(달러나 유로 같은 국제적으로 쓰이는 통화를 보유하지 않은 나라) 기준 위험 수위로 간주하는 수치다. 암울한 이 전망마저도 100조원 단위 빚잔치 공약은 고려하지 않은 숫자다.

국가채무는 넘치다 못해 빚이 빚을 부르는 형국이다. 내년 본예산을 보면 정부는 국고채 이자 상환으로만 19조7000억원을 지출할 예정이다.

김원식 건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양당 후보 모두 50조원, 100조원을 뿌리겠다고 말은 하고 있지만, 정확히 어떻게 어디에 쓰겠다는 구체적 얘기는 없다”며 “일종의 정치 대결로 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세종=조현숙 기자 newear@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