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서울시민 만족도 '따릉이' 1위…따릉이>공구대여소>나눔카 순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시 공유정책 인지도 72.2%…따릉이 인지도 98.8%에 달해

코로나 이전 대비 따릉이, 공공와이파이는 ↑, 나눔카, 공공시설은 ↓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임철영 기자] 서울시민 10명 중 7명 이상이 공유정책를 인지하고 있었으며 이용 만족도는 따릉이가, 이용 경험도는 공공와이파이로 각각 1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시 시민의 72.2%가 공유정책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10개 공유정책 중 ‘따릉이’의 인지도가 98.8%로 가장 높게 나와 대표적 공유정책으로 자리매김 한 것으로 집계됐다. 사업별 인지도는 '따릉이'가 98.8%, '공공와이파이'가 77.8%, '나눔카'가 66.5%, '주차장공유'가 58.1% 순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현재의 공유 정책에 대한 평가 및 진단을 통해 공유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향후 정책방향을 설정하고자 전문조사기관에 의뢰해 작년 11월 19일부터 11월 22일까지 서울 거주 19세 이상 69세 미만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95% 신뢰수준, 표본오차 ±3.1%포인트)으로 실시됐다.

서울시 공유정책 10개 사업 중 한 가지라고 이용해본 경험이 있다고 답변한 시민은 82.8%로 코로나 시기에도 시민들의 공유 활동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 가운데 ‘공공와이파이’ 이용률이 83.3%, ‘공공데이터 개방’ 이용률이 69.0% 로 높게 나왔다. 스마트폰의 생활 필수품화 및 정보 수요가 높은 시대적 상황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사업별 이용률은 ‘공공와이파이’ 83.3%, ‘공공데이터 개방’ 69.0%, ‘공공시설 개방’ 63.5%, ‘따릉이’ 60.3% 순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확산 이전 대비 시민들의 공유활동 변화를 조사한 결과 시민들은 비대면 사업인 ▲따릉이 ▲공공와이파이 ▲공공데이터개방 ▲ 주차장 공유 등은 증가했다고 응답했고 접촉이 빈번한 사업인 ▲나눔카 ▲공공시설개방 ▲한지붕세대공감은 감소했다고 응답했다.

특히 공유정책 이용에 대한 만족도는 89.5%였고 모든 사업에서 만족 비율은 84% 이상의 성과를 나타났다. 이 중 ‘따릉이’가 96.9% 월등하게 높고 다음으로는 ‘공구대여소’ 93.3%, ‘나눔카’ 91.7%, ‘공공시설 개방’ 90.2% 순으로 나타났다.

만족하는 이유로는 ‘서비스 이용가능 시간이 편리해서’와 ‘이용절차 및 방법이 간편해서’ 가 높게 나왔고, 불만족 이유로는 ‘주변에서 쉽게 찾을 수 없어서’와 ‘이용절차 및 방법이 복잡하고 어려워서’ 가 높게 나타났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사회 및 도시문제 해결에 있어 서울시 공유정책이 기여한 측면을 묻는 질문에는 ‘도시의 수요에 대응해 새로운 서비스 창출’과 ‘불필요한 생산·소비를 줄여 환경문제 해결’ 기여도는 높은 응답을, ‘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취업·창업 기회의 창출’ 기여도는 낮은 응답을 했다.

‘자원공유의 필요성’에 대한 질문에는 코로나19 확산으로 공유활동에 대한 우려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울시민 70.6%가 자원공유가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며, 불필요하다고 응답한 시민은 4.1%에 불과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공유정책의 방향 설정을 목적으로 우선순위 3가지를 묻는 ‘향후 활성화 및 발전시켜야 할 공유분야’에 대한 질문에는 (1+2+3 순위)에서 ‘취미·재능 공유’ 분야가 50.2%로 가장 높게 나와, 일상생활 속 지식과 정보 공유에 대한 시민 수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서울시 공유정책의 발전을 위해 묻는 ‘서울시 공유서비스 개선사항’에 대한 질문에는 ‘적극적인 홍보를 했으면’ 사항을 가장 많은 시민이 제안을 했다. 시민들의 제안사항으로는 ▲사용방법이 간편하고 접근성이 좋았으면 ▲공유물건에 책임제를 도입했으면 ▲사후관리를 철저히 했으면 ▲위생관리를 철저히 했으면 ▲다양한 공유 정보를 제공했으면 ▲비용이 저렴했으면 ▲안전한 관리를 했으면 등으로 매우 다양했다.

이원목 시민협력국장은 “디지털 시대 전환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존 공유서비스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속 지식, 정보 등을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 운영이 필요해 보인다”며 “코로나19 팬데믹, 1인 가구 증가, 합리적 소비방식 확산 등의 시대적·환경적 상황에 맞는 공유서비스를 발굴하기 위한 민·관의 노력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임철영 기자 cyl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