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서울시, 26년까지 저탄소건물 100만호·전기차 10% 추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도전적 목표로 강력한 의지 표현"

파이낸셜뉴스

서울시가 20일 오는 2026년까지 온실가스를 30% 줄이기 위해 총 10조원을 투자한다는 내용의 '서울시 기후변화대응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이날 오세훈 서울시장은 20일 서울 태평로 서울시청에서 종합계획을 발표하고 있다./사진=서울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20일 서울 태평로 서울시청에서 열린 '서울시 기후변화대응 종합계획' 발표에서 이 같은 말로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드러냈다.

계획에 따르면 서울시는 오는 2026년까지 온실가스를 30% 줄인다는 목표다. 투자금액도 5년간 10조원에 이른다. 투자는 노후 건물 100만호를 '저탄소 건물'로 바꾸고 전기차 비율을 10%로 끌어올리는 데 집중한다.

■건물·교통에 집중 투자
핵심은 건물과 교통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감축에 있다. 지난 2019년 기준 서울 지역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에서 건물(68.7%)과 교통(19.2%)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88%에 이른다.

따라서 오는 2026년까지 서울시는 건물 100만호에 에너지효율화를 추진한다. △아파트 등 주택·건물 80만호 △공공주택 12만호 △저소득·차상위 가구 8만호 △경로당, 어린이집, 공공청사 등 3000호다.

신축건물의 경우 제로에너지건축물(ZEB)로 지어질 수 있도록 의무화한다. 내년부터 연면적 10만㎡ 이상 건물의 ZEB 설계를 의무화하고 오는 2025년에는 1000㎡ 이상 건물로 확대한다. 공공건물은 오는 2024년부터 모두 ZEB로 지어야 한다.

또 수열·지열 등 다양한 에너지원을 발굴해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을 지난해 4.2%에서 2030년 21%까지 끌어올린다. 이를 위해 우선 올해 반포지역 재건축에 수열 에너지 시스템을 도입하고, 서울물연구원과 인재개발원 등 공공건물에 지열에너지를 활용하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태양광은 기존 주택(베란다형)이나 건물보다 도심에 적합한 고효율 태양광 위주로 늘린다.

교통 부문에서는 서울 전역의 전기차 보급 및 충전 인프라 구축이 추진된다.

전기차 보급의 경우 지난해 기준 약 5만2000대(전체 자동차 중 1.4%) 수준에서 오는 2026년 전체 자동차의 10% 수준인 총 40만대까지 확대한다. 같은 기간 전기차용 충전기를 2만기에서 22만기까지 10배 이상으로 늘려 '생활권 5분 충전망'을 갖춘다.

이와 함께 △건물옥상 등 도심 곳곳에 월드컵공원의 13배 면적의 생활밀착형 공원 조성 △소하천을 수변공간으로 바꾸는 '지천 르네상스'를 6개 지천(녹번천·도림천·중랑천·성내천·정릉천·홍제천)에서 시작해 도심 열섬효과 완화 △카페 1회용컵 퇴출 △일회용품·포장재 없는 '제로마켓'을 1000개까지 확대 조성 △간선도로에 자전거도로 181㎞ 확충 등을 추진한다.

■생산유발효과 20조원 예상
서울시는 이번 종합계획을 통해 오는 2026년까지 약 7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20조원의 생산유발효과·8조원의 부가가치 유발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

이 같은 계획을 이행하는 데 있어 전기의 친환경적 생산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오 시장은 "현재 우리나라 발전량의 약 70%가 화석 연료에 의존하고 있다"며 "이런 발전 구조에서 전기 사용량을 늘리는 것이 근본적인 해법이 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지난 5년간은 문재인 정부 하에서 어렵고 고통스러운 실험을 통해 원자력 발전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바람직한 방향이라는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되는 기간"이라며 "20년 뒤쯤 핵융합 발전이 가능하게 된다면 지속 가능한 에너지 공급이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어 오 시장은 "매우 어려운,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했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며 "강력한 의지 표현이고 시민 여러분들과 함께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달성 가능한 목표"라고 말했다.

그는 "종합계획을 차질 없이 추진해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2050 탄소중립이라는 전 인류의 과제를 철저히 이행하겠다"고 덧붙였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