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8 (목)

“신규확진 7천명대” 오미크론 확산세에...새 방역체계 전국 시행되나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한 달 만에 다시 7000명대로 올라선 신규확진자 수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31일만에 다시 7000명 선으로 올라왔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22일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7009명 발생했다고 밝혔다.22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광장에 마련된 임시선별진료소를 찾은 시민들이 검체 검사를 받고 있다. 2022.1.22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수가 7000명을 넘어서면서 이달 안에 새 방역체계가 가동될 전망이다.

고위험군을 대상으로는 유전자증폭(PCR) 검사역량을 집중하고, 병·의원급 의료기관에서도 검사와 진료를 받게 된다. 또 먹는치료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중증화를 예방하는 등 의료와 방역이 새롭게 전환된다.

정부는 오는 26일 광주·전남·평택·안성 4곳에 오미크론에 대응하는 새로운 검사·진료 체계를 적용한 뒤 오미크론 확산세를 지켜보며 전국 적용 시점을 결정할 예정이다.

한 달 만에 신규확진 7000명대 기록
2월 초중순 2만명대 예상


지난 22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7009명이다. 지난해 12월 22일(7454명) 이후 한 달 만에 7000명대를 기록하게 됐다.

‘7천명’은 정부가 3T(검사·추적·치료) 중심의 기존 방역체계를 중환자·사망자 관리 중심의 오미크론 대응체계로 전환하는 기준점으로 제시한 수치다.

앞서 지난 16~19일 국내 코로나19 확진자 가운데 오미크론 변이 감염자의 비율은 47.1%였다.

오미크론 감염률은 지난해 12월 4주차부터 주별로 1.8%→4.0%→12.5%→26.7%로 한 주에 두 배씩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에 오는 24일 발표될 1월 3주차(16∼22일) 감염률은 50%를 넘고, 설 연휴(1.30∼2.2)가 지나면 전국적으로 80∼90%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음주에는 8000명대까지, 2월 초중순에는 2만명대의 신규 확진자가 나올 가능성이 높다.

광주 등 4곳 지역, 26일부터 고위험군만 PCR 검사
그밖의 검사 희망자는 신속항원검사 먼저
서울신문

신규확진 7009명 - 22일 오전 서울 용산역 임시선별진료소에서 시민들이 검사를 받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7009명 늘어 누적 확진자 수가 72만6274명이라고 밝혔다. 2022.1.22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는 오미크론 대응책을 전국적으로 실시하기에 앞서 오미크론이 이미 우세종이 된 광주, 전남, 평택, 안성 등 4곳을 대상으로 26일부터 선제 대응에 들어간다.

해당 지역에서는 고위험군만 선별진료소에서 PCR 검사를 받을 수 있다.

고위험군이란 ▲ 확진자 밀접접촉으로 분류된 역학 연관자 ▲ 검사가 필요하다는 의사 소견서를 받은 사람 ▲ 신속항원검사 양성 확인자 ▲ 60대 이상 등이다.

이는 위중증·사망 확률이 높은 고령자 등을 상대로 검사 정확도가 높은 PCR 검사를 집중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조치다.

그 밖의 검사 희망자는 선별진료소나 호흡기전담클리닉으로 지정된 집 근처 병·의원에서 신속항원검사를 먼저 받은 뒤, 양성이 나오면 PCR 검사를 추가로 받아야 한다. 신속항원검사는 정확도는 떨어지지만 검사 결과를 몇 분 내로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방역패스’ 적용 시설에 입장할 때 필요한 음성확인증명서도 신속항원검사를 기반으로 발급된다. 기존에는 PCR 검사에서 음성이 나온 경우만 인정했지만, 광주 등 4곳에서는 선별진료소나 의료기관에서 실시한 신속항원검사에서 음성이 나오는 경우에도 증명서를 발급해준다.

정부는 이같은 일부 지역에 대한 선제 조치 외에 백신접종을 완료한 확진자의 격리기간을 10일에서 7일로 단축하는 방안을 오는 26일부터 전국적으로 시행하기로 했다.

또 먹는치료제 투약을 활성화하기 위해 투약 기준을 ‘65세 이상’에서 ‘60세 이상’으로 확대하고, 노인요양시설과 요양병원에서도 치료제를 쓸 수 있도록 했다.

임효진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