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8 (목)

'1만 명 확진' 오미크론 대유행 현실로…오늘부터 방역체계 전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신규 확진자 수가 연일 급증하며 1만 명 선에 다다랐습니다.

코로나19 백신 3차 접종 확대와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의 영향으로 이달 중순 신규 확진자 수는 3천∼4천 명대로 유지됐으나, 오미크론이 우세종이 되면서 지난 22일 7천 명대로 올랐고 어제(25일)에는 8천 명을 넘었습니다.

이어 오늘 0시 기준으로 발표될 신규 확진자 수는 1만 명을 넘을 것으로 보입니다.

방역당국과 감염병 전문가들은 앞으로 확진자 규모가 더 커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기존 델타 변이보다 전파력이 2배 이상 강한 오미크론 변이가 국내 우세종으로 자리 잡은 상황에서 설 연휴 대규모 인구 이동을 앞두고 있기 때문입니다.

오늘(26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어제 0시 기준 국내 신규 확진자는 8천571명이었습니다.

직전일(7천512명)보다 1천59명 늘면서 지난 2020년 1월 시작된 국내 코로나19 사태 이후 가장 많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인해 증가세는 더 가팔라지는 양상입니다.

오늘 0시 기준으로 발표될 신규 확진자 수는 1만 명을 넘을 것으로 보입니다.

방역당국과 서울시 등 각 지방자치단체가 어제 0시부터 오후 9시까지 중간 집계한 신규 확진자는 총 9천218명으로, 이미 역대 최다 수치인 어제 0시 기준의 8천571명을 넘었습니다.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인해 확진자 수는 계속 증가한다는 것이 당국과 전문가들의 일치된 의견입니다.

방대본은 오미크론 변이 전파율이 델타 변이의 3배라고 가정하면 내달 중순 신규 확진자 수는 2만7천∼3만6천800명에 달하고, 내달 말 7만9천500∼12만2천200명으로 치솟을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지난 24일 라디오에 출연해 확진자 규모를 두고 "(여러 연구팀에서) 지금 수준의 거리두기와 진단 체계를 가지면 3월에 20만 명, 이렇게 늘어날 수 있다는 해석이 나오고 적어도 3개월 정도 고생하고 유행이 꺾일 것 같다고 예측한다"고 말했습니다.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인해 현 확진자 수의 20배 정도로 유행 규모가 커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당국은 확진자가 폭증하는 상황에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감염 취약층에 진단과 치료 역량을 집중하는 방식으로 방역·의료체계를 전환하기로 했습니다.

오미크론 변이 대응 조치는 오늘부터 광주, 전남, 평택, 안성 등 변이 우세화 지역 4곳에서 우선 시행됩니다.

이들 지역에서는 밀접접촉자 등 역학적 관련자, 검사가 필요하다는 의사 소견서가 있는 사람, 신속항원검사 양성 확인자, 60대 이상 등 고위험군만 선별진료소에서 PCR(유전자증폭) 검사를 할 수 있습니다.

이외 검사 희망자는 선별진료소나 호흡기전담클리닉으로 지정된 집 근처 병·의원에서 신속항원검사를 받은 후 양성이 나오면 PCR 검사를 받게 됩니다.

당국은 또 방역체계 부담을 줄이기 위해 확진자와 밀접접촉자의 격리기간도 조정해 오늘부터 적용합니다.

격리기간은 코로나19 예방접종 여부에 따라 다르며, 전국에서 동일하게 시행됩니다.

우선 확진자의 경우 코로나19 백신 접종완료자의 격리기간은 10일에서 7일로 3일 줄어듭니다.

접종완료자는 3차 접종자 또는 2차 접종 후 14일이 경과하고 90일 이내인 사람입니다.

미접종 확진자는 현행대로 10일간 자가격리를 해야 합니다.

밀접접촉자의 경우, 접종을 완료했다면 자가격리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일상생활을 하면서 코로나19 의심증상이 있으면 검사하는 '수동감시'로 관리방식을 전환하는 것입니다.

밀접접촉자 중 미접종자는 7일간 격리합니다.

다만 밀접접촉자는 접종력과 상관없이 6∼7일 차에 PCR 검사를 받습니다.
유영규 기자(sbsnewmedia@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