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서울 분양가 평당 3224만원…'내 집 마련 포기' 2030, 선택한 방법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서울 잠실 일대 아파트 단지 전경. [매경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민간아파트의 분양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기준금리 인상 및 주택담보대출 규제 등 영향으로 월세살이를 선택하는 20·30대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부동산시장에서는 내 집 마련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층을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7일 주택도시보증공사에 따르면 지난 4월 말 기준 전국의 민간아파트 분양가격이 3.3㎡당 1458만2700원으로 나타났다. 전월과 비교해 2% 이상 올랐고, 전년보다는 8% 가까이 상승했다. 서울의 3.3㎡당 평균 분양가는 3224만4300원으로 전국 대비 2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전년에 비해 약 14% 급등했다.

지방 아파트 분양가격도 상승세다. 부산·대구·광주·대전·울산광역시와 세종시의 3.3㎡당 평균 분양가는 1531만2000원이다. 전월과 전년 기준 각각 2.8%와 11.8% 올랐다. 강원·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경남·제주 등 지방도시의 3.3㎡당 평균 분양가는 1153만200원으로 확인됐다.

실수요자들에게 비우호적인 분양시장 분위기에 주택 마련을 포기하는 청년들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실제로 전·월세 거래가 증가하고 있다. 직방은 최근 등기정보광장의 확정일자 통계를 분석한 결과 지난 1월부터 4월까지 확정일자 건수(29만1858건)가 지난해 전체 전월세 건수(71만2929건)의 40.9%에 달한다고 밝혔다.

서울에서는 지난달 말 기준 월세 비중이 전세 비중을 추월했다. 서울 임대차에서 월세 비중은 51.6%로 집계됐다. 월세 비중은 지난 3년간(2019년 41.0%→2020년 41.7%→2021년 46.0%) 꾸준히 상승해, 사상 처음으로 과반을 기록하게 됐다.

특히 청년층 임차인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20대 및 30대 임차인은 최근 3년 동안 늘어난 반면 50대 이상의 임차인은 줄어들고 있다. 20대 임차인이 가장 많은 곳은 관악구(15.44%)였다. 30대 임차인은 영등포·송파·관악구에 고루 분포했다.

기준금리 인상과 아파트값 고공행진 현상이 맞물리면서 청년층의 목돈 마련 길이 막히고, 전세대출을 받은 차주들의 금융부담이 늘어나자 월세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졌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전세 물량 확대와 임대인 세제 완화 등을 통해 '전세의 월세화' 속도를 늦춰야 한다는 제언도 나온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달 중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는 1.84%로 전월(1.72%)보다 0.12%포인트 뛰었다. 코픽스란 은행권에서 조달한 자금의 가중평균금리다. 예·적금, 은행채, 주택담보대출 같은 수신 상품 금리를 반영해 오르내린다.

하반기 전세 대란 우려도 남아 있다. 오는 8월부터 갱신계약청구권이 종료되는 주택 임대차 매물이 시장에 등장할 예정이지만, 전세 보증금을 5% 이상 올리지 못했던 집주인들이 보증금을 시세에 맞춰 대폭 상향 조정하거나 전세에서 월세로 계약을 전환하려는 경향이 뚜렷하기 때문이다.

직방 관계자는 "전체적으로 전세에 비해 월세 비율이 증가하고 임차인의 연령대도 젊어지고 있다"며 "최근 금리가 꾸준히 인상되면서 자금 마련이 어렵거나 대출 이자가 월세보다 높아지는 등의 이유로 월세 거래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주택 공급측면에서 소형주택 및 오피스텔 공급 비율이 늘었고 자금마련이 어려운 젊은 세대들이 임차시장에 유입되면서 월세 비중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며 "젊은 계층의 주거비 경감 및 안정적인 임차계약을 위한 공급 및 제도적 뒷받침 등 임차인의 주거 안정을 위한 정책 고민이 필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른 부동산업계 관계자도 "청년층의 박탈감이 커지고 있다"며 "청년층의 소득 및 부채 등 자산 규모나 학교 및 직장 위치 등 라이프스타일이 반영된 실효성 있는 대안이 제기돼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가람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