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日 없어질 수도" 발언한 머스크, 이번엔 韓 출산율 경고 "가장 빠른 인구 붕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통계청, 장래인구특별추계(2020~2050) 시도편 발표

30년 뒤 생산연령인구 35% 줄어

아시아경제

저출생 현상이 지속될 경우 30년 뒤 서울 인구가 4분의 1가량 줄어든다는 전망이 나왔다.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나예은 기자] 저출생 현상이 지속될 경우 30년 뒤 서울 인구가 4분의 1가량 줄어든다는 전망이 나왔다.

통계청은 26일 이러한 내용의 '2020∼2050년 장래인구추계 시도편'을 발표했다. 통계청은 2020년 인구총조사를 기초로 최근 시도별 출생·사망·인구이동 추이를 반영해 2050년까지의 장래 인구를 전망했다.

출생률과 기대수명을 중간값(중위)으로 가정한 시나리오에 따르면, 한국의 총인구는 2020년 5184만명에서 2050년 4736만명으로 8.6%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출생률과 기대수명을 낮은값(저위)으로 가정한 시나리오에서는 2050년 4333만명으로 16.4% 감소한다.

시도별로 보면 중위 시나리오 기준으로 2050년에는 서울, 부산, 대구, 인천 등 13개 시도의 총인구가 2020년보다 감소한다. 다만 경기, 세종, 제주, 충남은 총인구가 늘어난다.

울산(-25.9%), 대구(-25.2%), 부산(-25.1%)에서 총인구 감소 폭이 25% 이상으로 크게 나타나고, 서울도 인구가 17.7% 줄어든다.

저위 시나리오로 보면 세종을 제외하고 모든 시도에서 총인구가 감소한다. 특히 서울은 2020년 962만명이던 인구가 2050년에는 720만명으로 25.1% 줄어드는 것으로 추산됐다.

권역별로 보면 중위 시나리오에서도 2050년 모든 권역의 인구가 2020년보다 줄어든다. 감소 폭은 영남권(-21.0%), 호남권(-14.3%), 수도권(-3.6%), 중부권(-0.2%) 순으로 크다.

아시아경제

테슬라 최고경영자 일론 머스크.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편 인구 감소와 함께 고령화도 심화되고 있다. 2020년 중위연령이 50세 이상인 시도는 한 곳도 없지만, 2050년에는 17개 시도 모두 50세를 넘길 것으로 예상된다. 2020년과 2050년 모두 중위연령이 가장 낮은 시도인 세종도 37.8세에서 50.9세로 높아진다.

전국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2020년 3738만명에서 2050년 2419만명으로 35.3% 감소한다. 전체 인구 중 생산연령인구가 차지하는 비중도 2020년 72.1%에서 2050년 51.1%로 축소된다.

시도별 생산연령인구 비중은 2050년 전남(43.4%), 경북(44%) 등 10개 시도가 50%를 하회하고, 세종(58%), 서울(54.7%), 경기(53.8%) 등 7개 시도만 50%대를 유지한다.

반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0년 815만명에서 2050년 1900만명으로 늘어나고, 전체 인구 대비 고령인구 비중은 같은 기간 15.7%에서 40.1%로 대폭 확대될 전망이다. 2050년 17개 시도 중 전남(49.5%), 경북(48.9%) 등 10곳의 고령인구 비중이 40%를 넘어서며, 세종이 유일하게 28.8%로 30%를 밑돌 전망이다.

테슬라 최고경영자 일론 머스크는 25일(현지시간)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세계은행이 제공한 2020년 국가별 출생률 순위표를 공유하며 "한국과 홍콩은 가장 빠른 인구 붕괴(population collapse)를 겪고 있다"고 우려했다.

2020년 국가별 출생률 순위표에 따르면 한국의 출생률은 0.84명으로 최하위다. 홍콩은 0.87명으로 꼴찌를 면했다. 일본은 1.34명(186위), 이탈리아는 1.24명(191위)이었다.

머스크는 "한국의 출생률이 변하지 않는다면 3세대 이후에 한국 인구는 현재 인구의 6%가 될 것이며 대부분은 60대 이상 연령층이 차지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전 세계 인구 감소에대해 우려를 나타낸 머스크는 앞서 일본 인구가 11년 연속으로 감소한 것을 두고 "일본은 출산율이 사망률을 넘는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결국 존재하지 못할 것"이라며 "이는 세계에 큰 손실"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나예은 기자 nye8707@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