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섬진강 사계를 수묵과 글로 담다… '강의 사상'이 내미는 ‘전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화가 송만규 화백, 32장의 대형화폭과 창작과정 글로 담아 한 권의 책으로 완성


경향신문

송만규화백이 그린 새벽강.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향신문

송만규화백이 32장의 대형화폭과 글을 더해 발간한 책.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물과 강, 인간과 호흡이라는 화두로 섬진강의 아름다움을 한지와 수묵으로 담아내는 일을 해 온 송만규화백이 그림과 글을 조합한 <강의 사상>을 펴냈다. 섬진강 전체를 부감하며 잡아낸 섬진8경의 사계를 총 32장의 대형 화폭으로 그려냈다. 이 그림들과 함께 강의 덕성과 품성을 드러낸 작가의 사유어린 창작 과정을 잔잔한 글에 담아 완성한 책이다.

유장하게 흐르는 섬진강처럼 작가의 그림은 크고 웅장하다. 21m 길이의 ‘새벽 강’과 24m 길이의 ‘언 강’은 수묵의 절정미를 보여 준다. 골짜기를 낮게 흐르며 뭇 생명을 살리고, 사람을 깃들게 하면서 풍광과 자연을 만드는 강물의 행행지도(行行之道)를 겸애(兼愛) 정신이라 사유하며 그 스스로 강물이 되어 간 과정을 담담히 담아냈다.

출판사 ‘거름’은 “역사의 강, 호남의 젖줄인 섬진강 8장면을 사계절 총 32개의 대형 화폭으로 그려낸 것은 국내 미술사에서 최초인 대서사화라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송화백은 “언젠가, 온몸이 아리도록 매서운 꽃샘추위를 안고 섬진강 강변을 종일토록 헤맸다. 나의 삶, 나의 존재라는 새삼스러운 화두를 잡고 물길 따라 걸어 다녔다”면서 “강물은 구시렁거리지 않고 묵묵히 기웃거렸다. 메마른 곳, 목마른 사람은 적셔 주고, 있어야 할 곳이라면 잠시 머물다가 기꺼이 섬세하게 배려하며 낮은 곳으로 만 흐른다는 당연한 사실을 깨달았다”고 밝혔다.

작가는 또 다른 역사의식과 감흥을 불러내며 섬진강과 하나가 되기 위해 사력을 다했다. 그리고 계절마다 산기슭에서 산꼭대기로 오르내리며 가슴에 던져주는 메시지가 유난히 남아 있는 여덟 곳에 집중했다. 그런 과정을 거쳐 섬진팔경의 사계절이 그림이 됐다.

그림과 글이 만난 <강의 사상>은 단순 풍경과 개인의 고통을 넘어, 현실과 시대의 과제상황으로 돌아온 내력이‘강의 사상’으로 체화된 것이다. 작가의 깊고 따뜻한 시선이 머물렀던 곳을 통해 물을 따라 강을 따라 유유하게 구도의 발걸음이 되어간 과정이다. 송화백은 자연에 한 몸을 묻은 자신의 젊은 날처럼 독자들 역시 생명의 물이 전하는 깊은 자각의 차랑한 소리도 들을 수 있길 원했다. .

그는 현재 한국묵자연구회 회장직을 맡고 있다. 묵자 사상의 핵심인 겸애(兼愛)는‘더불어 함께 살아가기’‘대동사회’를 일컫는다. 그는 젊은 날 미술운동을 통해 우리 사회의 부조리에 온몸으로 맞서 싸웠다. 어느 날 섬진강의 작은 물방울을 발견하며 삶과 그림의 대전환을 가져오게 되는데 작가는 이를 ‘다시 붓질’이라 표현한다.

조은정 미술평론가는 작가의 이 고뇌어린 과정을 이렇게 정리했다.

“21m 길이의 ‘새벽 강’과 24m 길이의 ‘언 강’은‘단숨에 미친 듯이’ 그려냈던 것인데 ‘지난한 세월을 담아 피 토하듯 매달려 그린 것’이라고 자평한다. 이 간단한 몇 마디가 우리 모두 경험한 사회였고 세월이었지만 이른바 미술운동을 한 그가 치렀을 혹독한 세월이 어떤 것이었는지 고개를 주억거리게 된다.”

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장은 “송만규의 눈을 자극한 것은 강물과 같은 거대한 덩치가 아닌 왜소한 물방울이었다. 계단식 논에서, 혹은 조그만 도랑에서, 몇 낱의 개체로 흐르는 물방울, 그 물방울에 화가의 감성은 흡입하여 들어갔다”면서 “작은 물방울도 거대한 강물의 하나로 바뀌면 묵언 수행자가 된다. 화가는 새벽 강가를 산책하면서 물방울과 강물 사이의 색깔을 온몸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이는 결코 예사스러운 일이 아니었다”고 평했다.

▶ [뉴스레터]좋은 식습관을 만드는 맛있는 정보
▶ ‘눈에 띄는 경제’와 함께 경제 상식을 레벨 업 해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