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3 (화)

이번엔 이재명 ‘민생’ 때린 박용진···‘97세대 교체’ 선긋고 당권 저울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 경향신문 자료사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51)이 27일 “전혀 민주당답지 않다”며 이재명 민주당 의원을 재차 비판했다. 민주당 내 ‘97세대’(70년대생·90년대 학번)가 주장하는 세대교체론에는 “동의하지 않는다”며 선을 그었다. 자신의 전당대회 출마 여부에 대해선 “고민 중”이라며 도전 가능성을 시사하고 나섰다.

박 의원은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이 의원의 ‘유류세 한시적 중단’과 ‘공매도 한시적 금지’는 전혀 민주당다운 의제가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이 의원이 이틀 전 SNS에 “한시적 공매도 금지로 개인투자자들이 숨 쉴 공간이라도 열고, 유류세 한시적 중단으로 급한 불끄기부터 해보자”며 정부에 요청한 민생 개선 방안을 지적한 것이다.

박 의원은 유류세 한시적 중단에 대해 “유류세는 모두 알다시피 국민이 직접 내는 것이 아니라 정유사가 내는 것”이라며 “정유사의 엄청난 초과수익에 날개를 달아주는 격이다. ‘민생 우선’이 아니라 ‘부자 우선’ 대책”이라고 지적했다. 한시적 공매도 금지 방안에 대해선 “주가가 이미 가파르게 폭락한 상황에서 가격 거품 발생을 방지하는 공매도의 순기능은 유지하면서 개미투자자들의 목을 죄는 불법 공매도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했다.

박 의원은 그러면서 “민주당은 소득불평등뿐만 아니라 소비의 불평등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며 “재산세를 내지 않는 서민을 대상으로 소득세를 한시적으로 감면하는 ‘서민 감세’를 통해 물가상승 압박에 대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박 의원은 “당직은 당원에게, 공직은 국민에게”라는 이 의원 발언에 대해 지난 20일 “민주당이 민심과 더 동떨어진 길을 걷게하는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번엔 민생 문제로 ‘이재명 때리기’에 나선 것이다. 박 의원은 지난해 민주당 대선 경선 때도 이 의원을 집중 겨냥한 바 있다.

박 의원이 이 의원을 잇따라 견제하고 나선 것은 전당대회 출마 유력 후보로 거론되는 이 의원이 민생 의제로 치고 나가려는 모습을 보이자 견제구를 날리며 ‘체급 높이기’식 경쟁을 시도하는 의도로 풀이된다.

박 의원은 이날 YTN 라디오 인터뷰에서 전당대회 출마에 대해 “고민 중”이라며 도전 가능성을 시사했다. 박 의원은 이 의원의 전당대회 출마에 대해선 “우리 당의 중요한 정치자산인데 단타 매매로 하루하루 소진해서는 안된다”라고 지적했다.

친이재명계인 김병욱 민주당 의원은 이날 SNS에 “이전부터 계속된 이른바 ‘박용진의 어그로 이재명’ 후속타인데 이번 건은 조금 도를 넘은 것 같다”며 반박하고 나섰다. 김 의원은 “지금 시급한 과제인 유류세 한시적 중단에 대한 박 의원 비판은 단지 ‘비판을 위한 비판’”이라며 “한시적 대책이라도 국민 부담을 덜 수 있다면 모든 국가적 역량을 동원해야 할 시급한 상황이라는 점을 잊지 말아달라”고 밝혔다.

박 의원은 자신이 속한 97세대 재선의원 그룹을 중심으로 나오는 ‘민주당 세대교체론’엔 “별로 동의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무조건 나이가 젊다는 걸로 새로운 인물이라고 포장해나가는 게 적절하겠나”라며 “정치인으로서 할 말을 해야할 때 할 말을 했냐, 할 일을 해야할 때 뒷걸음치지는 않았냐가 되게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강병원·강훈식·박주민·전재수 의원 등 전당대회 출마를 검토하는 97세대 재선 의원들과 차별화하려는 시도로 풀이된다. 박 의원은 “인물 중심으로 가는 리더십 구축 방식은 틀렸다”며 “혁신이 가능한 제도의 개선이 가장 우선이다. 당심과 민심이 50%씩 반영되는 (방식으로) 전당대회 룰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박광연 기자 lightyear@kyunghyang.com

▶ [뉴스레터]좋은 식습관을 만드는 맛있는 정보
▶ ‘눈에 띄는 경제’와 함께 경제 상식을 레벨 업 해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