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7 (수)

中내 한국기업 88% ‘코로나 봉쇄’ 피해… 탈중국 고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무협 조사…“상반기 매출 감소” 97%, 55%가 “中사업 축소나 철수 검토”

현대차 지난달 판매량 75% 급감… 애국주의 소비 등으로 어려움 커져

동아일보

중국 정부의 강력한 코로나19 방역 정책으로 상하이 등 주요 도시가 봉쇄되는 사태를 겪으면서 중국 진출 외국 기업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올해 4월 도시 전체가 봉쇄됐던 상하이 시내 전경. 상하이=AP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동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현대자동차는 올해 5월 중국 내 자동차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75.1% 줄었다. 기아도 같은 기간 57.4% 감소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대한 중국 정부의 강력한 봉쇄 정책으로 부품 공급 등에 차질을 빚으면서 생산량이 크게 줄었기 때문이다. 여기에 더해 미중 경제 갈등을 겪으면서 중국인들의 애국주의 소비 성향이 더욱 강화된 것도 악재로 겹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현지에 진출한 자영업자들도 힘들긴 마찬가지다. 중국 상하이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교민 A 씨는 상하이 봉쇄 기간 공식적 매출이 0원이라고 전했다. 비공식적으로는 중국 당국의 눈을 피해 아는 교민 몇 명씩을 손님으로 받으면서 영업을 이어갔다. A 씨는 “중국 정부가 6개월 임대료 할인 정책 등을 내놓고 있지만 건물주가 정부 정책을 따르지 않을 것 같다”고 하소연했다.

중국에 진출한 기업과 자영업자들의 현실이 악화일로를 치닫고 있다. 특히 ‘동태청령(動態淸零)’으로 불리는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은 중국 시장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를 재검토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27일 한국무역협회 상하이지부는 중국에 진출한 177개 한국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내놨다. 설문에 응한 기업은 제조업이 50곳(28.2%), 비제조업이 127곳(71.8%)이었다.

우선 응답 기업의 88.1%가 중국 정부의 고강도 방역 정책으로 ‘피해를 받았다’고 답했다. 올해 상반기(1∼6월)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다는 응답은 97.4%나 됐다. 특히 매출 감소율이 50%가 넘는 기업도 31.4%에 이르렀다.

중국 내 상황이 개선될 것이란 기대도 낮았다. 응답 기업의 95.5%는 하반기(7∼12월)까지 매출 감소가 이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국내 한 생활용품 제조업체 대표는 “현지 직원들이 코로나 통제를 핑계로 출근을 안 하기도 한다. 통제 및 봉쇄 여파가 여전히 곳곳에 남아 있어서 경제가 제대로 돌아가지 않고 있다”고 했다.

현지 진출 기업들이 중국 시장의 예측 불가능성이 개선될 것이란 기대를 하지 않고 있다는 분위기도 감지됐다. 응답 기업의 55.3%는 향후 중국 내 사업에 대해 축소나 중단, 나아가 제3국 이전이나 시장 철수도 고려하고 있다고 답했다.

상하이 교민 단체 관계자는 “상하이 교민 60∼70%가 자영업, 30∼40%가 큰 기업 주재원으로 구분되는데 많은 자영업자가 한국 복귀를 희망하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 시장에서 어려움을 겪는 건 한국 기업만이 아니다. 무역협회는 중국에 진출한 외자기업의 총이익이 올해 4월 전년 동기 대비 37.7%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적자를 기록한 외자기업이 전년 동기 대비 17.7% 늘었다. 같은 기간 중국 국유기업 중 적자기업이 7.4% 는 것에 비하면 증가 폭이 두 배 이상이다. 해외기업들이 중국 시장에서 겪는 어려움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의미다.

한 유럽계 기업 관계자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을 목격하며 정부의 입김에 모든 것이 좌우되는 나라에서 기업을 운영하고 투자를 지속하는 게 맞느냐는 근본적인 질문을 하게 됐다”고 말했다. 정부 지시에 따라 기업의 운명은 물론이고 개인 간 이동, 교류 등이 통제되는 나라에서 기업을 하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한 무역업계 관계자는 “실적 개선을 기대하기 어려운 중국으로의 발령은 ‘경력에 흠집’이라는 인식이 퍼져 있다”고 전했다.

이건혁 기자 gun@donga.com
변종국 기자 bjk@donga.com
베이징=김기용 특파원 kky@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