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무비자 입국 허용해야" 한일 재계, 한일 관계 개선 촉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韓전경련·日경단련 등 한일 재계 관계자 한 자리에

무비자 입국 부활, 韓CPTPP 가입 등 개선 방안 논의

[이코노믹데일리] 한일 재계 관계자들이 코로나19로 중단된 상호 무비자 입국 제도를 부활해 인적 교류를 확대하는 등 한일 관계 개선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4일 전경련회관에서 제29회 한일재계회의를 개최했다. 한일재계회의가 오프라인 행사장에서 열린 것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3년 만에 처음이다.
아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허창수 전경련 회장은 “한일 관계 개선은 일명 김대중-오부치 선언으로 알려진, 1998년 '한일 공동선언-21세기를 향한 새로운 파트너십'에 답이 있다”라면서 “과거가 아닌 미래를 보고, 모든 분야에서 협력을 강조한 이 선언을 지금에 맞게 업그레이드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한일 공동선언-21세기를 향한 새로운 파트너십은 지난 1998년 10월 김대중 전 대통령이 오부치 게이조 일본 총리와 합의를 이끌어낸 공동선언이다. 과거사 인식 등을 포함해 한일 양국 간 불행한 역사를 극복하고 미래지향적 관계를 발전시키기 위한 11개 항에 합의한 것이 특징이다.

도쿠라 마사카즈(十倉 雅和) 경단련 회장도 “한일 관계가 어려울수록 김대중-오부치 선언 정신을 존중하고 미래를 지향하면서 함께 전진하는 것이 소중하다”라며 “일본 경제계에서도 한일 정상과 각료 간의 대화가 조기에 재개되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상호 수출규제 폐지 △상호 무비자 입국제도 부활 △한국의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가입 필요성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 발전을 위한 한일 공동협력 △한미일 비즈니스 서밋 구성 등 한일 관계 개선을 위한 다양한 제안들이 나왔다.

특히 양국 참석자들은 코로나로 중단된 상호 무비자 입국제도를 부활해 인적 교류를 확대해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 한일을 오간 방문객들은 지난 2018년 기준 1050만명이었으나 코로나19 시기를 겪으면서 지난해 기준 3만 4000명으로 4배 가까이 줄었다.

국제무대에서의 한일 간 협력 필요성에 대한 논의도 진행됐다. 한국 측 참석자들은 한국의 CPTPP 가입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일본의 지지를 요청했다. 지난 5월 출범한 IPEFF에서의 한일 간 협력 필요성에 대한 논의도 있었다. 경제 분야에서 한국과 일본의 최대 우방인 미국과의 3국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한미일 비즈니스 서밋 구성 및 정기적인 회의 필요성에 대한 제안도 나왔다.

전경련과 경단련은 이날 일명 김대중-오부치 선언 정신 존중 및 미래지향적 관계 구축, 민간 교류 정상화를 위한 비자면제 프로그램 부활 필요성 확인 등을 내용으로 하는 8개 항의 공동선언문을 채택했다. 또 내년에 도쿄에서 제30회 한일재계회의를 개최하기는 데 합의했다.
아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편 이날 회의에 한국 측에서는 허창수 전경련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김윤 삼양홀딩스 회장, 이장한 종근당 회장, 권태신 전경련 부회장, 조현준 효성 회장, 윤종규 KB금융그룹 회장, 조용병 신한금융지주 회장, 이어룡 대신파이낸셜그룹 회장, 우오현 SM그룹 회장, 최창식 DB하이텍 부회장, 김종서 한화토탈에너지스 사장, 장희구 코오롱인더스트리 사장, 이인용 삼성전자 사장, 고정석 삼성물산 사장, 공영운 현대자동차 사장, 조주완 LG전자 사장, 이용욱 SK 머티리얼즈 사장, 전중선 포스코홀딩스 사장, 배상근 전경련 전무 등 20명이 참석했다.

일본 측에서는 도쿠라 마사카즈 경단련 회장, 사토 야스히로 미즈호금융그룹 고문, 야스나가 타츠오 미쓰이물산 회장, 히가시하라 토시아키 히타치제작소 회장 및 구보타 마사카즈 경단련 부회장 등 5명이 참석했다.

문은주 기자 joo0714@ajunews.com

-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economidaily.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