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6월 소비자물가 6.0%, 24년 만에 '최고'…체감물가 7.4%↑(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998년 11월 이후 상승폭 최고…공업제품 9.3%↑

현재 추세면 연간 상승률 5% 넘어…"하반기 불확실"

뉴스1

© News1 김초희 디자이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종=뉴스1) 이철 기자,한종수 기자,김혜지 기자 = 6월 소비자물가가 1년 전보다 6.0% 오르면서 1998년 외환위기 후 약 24년 만에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

국제유가와 곡물가격 등 각종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라 경유가 50.7%, 수입쇠고기가 27.2% 급등했다. 특히 체감 물가를 나타내는 생활물가지수가 7.4% 크게 오르면서 23년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해, 실제 민생난을 보여줬다.

통계청이 5일 펴낸 '2022년 6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8.22(2020=100)으로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6.0% 상승했다. 상승폭이 전월인 5월(5.4%)보다 0.6%포인트(p) 확대됐다.

이는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11월(6.8%) 이후 23년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6월 물가는 석유류를 포함한 공업제품과 외식 등 개인서비스, 전기·수도·가스, 농축수산물이 모두 상승했다.

특히 공업제품이 9.3% 오르면서 2008년 9월(9.3%) 이후 가장 높은 상승세를 보였다.

구체적으론 Δ경유(50.7%) Δ휘발유(31.4%) Δ등유(72.1%) Δ자동차용LPG(29.1%) 등 유가 급등세가 가팔랐다.

농축수산물은 1년 전보다 4.8% 상승한 가운데 Δ돼지고기(18.6%) Δ수입쇠고기(27.2%) Δ포도(31.4%) Δ배추(35.5%) Δ닭고기(20.1%) Δ감자(37.8%) 등이 크게 올랐다.

전기·가스·수도는 9.6% 급등했는데, 이에 포함된 전기료(11.0%), 도시가스(11.0%), 상수도료(3.7%) 등 공공요금 상승률도 컸다.

서비스 물가는 1년 전에 비해 3.9% 상승했다. 특히 외식이 1992년 10월(8.8%) 이후 최대 상승률인 8.0%에 달했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석유류 등 공업제품과 개인서비스 가격이 높은 오름세를 지속하고 농축산물 오름 폭이 확대됐다"면서 "1998년 11월은 외환위기 이후 구제금융을 신청해 환율이 급등하면서 원자재 가격이 상승한 시기"라고 말했다.

역대 월별 소비자물가 상승률 추이를 보면, 작년 10월(3.2%) 9년8개월 만에 3%대로 올라선 뒤 11월(3.8%), 12월(3.7%), 올해 1월(3.6%), 2월(3.7%)까지 5개월 연속 3%대를 보이다가 3월(4.1%)과 4월(4.8%)에 4%선을 돌파했다. 이어서 5월(5.4%)에 5%대 상승률을 기록했는데,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9월 이후 13년8개월 만에 처음 있는 일이었다.

이번에 6% 선에 다다르면서 IMF 외환위기 수준으로 악화한 것이다.

뉴스1

6월 소비자물가 동향. (통계청 제공) ©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4.4% 올라 2009년 3월(4.5%) 이후 가장 크게 뛰었다.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도 3.9% 올라 2009년 2월(4.0%) 이후 최대 상승폭을 나타냈다.

체감 물가를 나타내는 생활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7.4% 오르면서 1998년 11월(10.4%) 이후 23년7개월 만에 가장 급격하게 치솟았다.

계절 요인이나 일시적 충격에 의한 변동을 배제한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는 2009년 4월(4.0%) 이후 13년2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 폭인 3.9%를 기록했다.

어 심의관은 "큰 흐름에서 석유류 등 공업제품과 개인서비스가 물가상승을 주도하는 것은 변함없다"며 "특히 석유류의 상승 기여도가 줄어들고 있지 않다는 것이 눈에 띈다"고 분석했다.

이어 "개인서비스의 물가상승폭은 조금씩 늘어나는 경향이다. 다만 코로나19 이후 소비가 회복되면서 개인서비스 가격이 오르는 것은 누구나 예상할 수 있었기 때문에 특이하게 보이지는 않는다"며 "오히려 개인서비스에 국제 에너지 비용 상승, 곡물가격 상승 효과가 반영됐다고 보이기 때문에 여전히 대외적인 공급측면의 물가 상승 요인들이 빨리 완화돼야 한다는 생각을 한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하반기는 불확실하다. 석유류의 오름세 둔화 시각도 있긴 한데 지켜봐야 한다"며 "7월부터 현재와 같은 수치면 연간으로 5%를 넘게 된다"고 전망했다.
iron@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