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누리호 체계종합기업 KAI·한화 관심..우주산업시대 탄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누리호 반복발사 8월 공고 추진..연말까지 기업 확정

누리호 300여개 기업 참여할듯..외연 확장 움직임

우주환경설비 등 개방 확대..달탐사선 결과도 주목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미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작지만 아이디어로 무장한 기업들이 소형발사체를 발사하고, 초소형위성을 공장에서 찍어내 우주로 보내 각종 위성 서비스를 할 수 있을까. 아직 시간은 필요하지만 미국, 유럽 등 선진국에서만 가능했던 일들이 조금씩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순수 우리기술로 만든 누리호가 지난달 21일 성공적으로 발사된 데 이어 대학원생들이 만든 큐브위성들도 지상국과의 양방향 교신에 성공하면서 우주산업시대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국내 우주개발은 정부부처와 정부출연연구기관 주도로 이뤄져 왔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우주 산업 기반이 약하다. 하지만 소형발사체 사업부터 우주부품핵심 기술 사업 등이 올해부터 새로 추진된데 이어 내년부터 누리호 반복발사를 기업 주도로 하게 되면서 민간 우주경제시대로의 전환이 속도를 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3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안)’에 따르면 내년 우주 분야 예산은 6569억원으로 올해(5382억원) 대비 22.1% 늘었다. 우주위험물체 감시 관련 신규사업을 빼면 새로운 사업은 없지만 올해부터 기업들이 참여해서 이뤄졌던 사업들이 본격적으로 이뤄진다는 특징이 있다.

이데일리

지난달 21일 누리호 발사장면.(사진=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누리호 체계종합기업에 KAI·한화 도전장

가장 먼저 관심을 끄는 것은 누리호 체계종합기업 선정이다. 설계부터 제작, 발사까지 하는 사업으로 2027년까지 누리호 반복발사에 6874억원이 투입된다. 설계부터 제작에 절반, 발사운용에 절반을 투입할 것으로 보인다. 쉽게 말해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했던 역할을 조금씩 기업에 맡겨 ‘한국판 스페이스X’를 키우게 되는 셈이다.

당장 내년에 발사를 해야 하는 만큼 다음달 공고를 거쳐 연말에 기업을 선정하고, 후속 발사를 준비하는 방식이 유력하다. 체계종합기업에는 발사운용에 경험이 풍부한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엔진 제작 등에 강점이 있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경쟁할 전망이다.

다만, 국내 산업계 기반이 약하고, 300여개 누리호 사업 참여기업들이 유기적으로 역할이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당분간 하나의 팀으로 구성돼 산업적 역량을 모을 계획이다. 업계 관계자는 “기업 입장에서도 민간우주경제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고, 누리호 후속 발사는 외연확장을 할 수 있는 기회”라며 “지난 발사에 참여했던 300여개 기업이 참여하는 가운데 KAI와 한화가 선의의 경쟁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우주부품 양산 시도

이 밖에도 민간 우주시설 개방, 소형발사체 발사장 구축, 지체상금 완화, 우주부품 국산화 등이 추진돼 기업의 부담을 덜 전망이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내 우주환경시험시설을 확장하는 한편 우주부품시험센터, 창원대 등의 공공기관을 개방하는 방식이 거론된다. 우주에서 쓰는 부품들은 지구에서 쓰는 부품 대비 내구성이 좋아야 하기 때문에 검증 시설이 필요한데 기존 시설들이 포화돼 기업들이 제때 이용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국가 연구개발이 아닌 계약방식 도입은 순차적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직접 구매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큐브위성처럼 양산이 가능한 부품에 먼저 적용된뒤 상품군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스페이스이노베이션 사업’에 선정된 솔탑, 나라스페이스테크놀로지, 한컴인스페이스, 드림스페이스월드, 루미르, 한국우주기술, 카이로스페이스, 져스텍 등의 기업이 경쟁해 먼저 우주부품 국산화와 양산에 도전한다.

달탐사선 발사에 미국·프랑스 등과의 협력 기대감도

오는 8월 3일 미국에서 한국형달궤도선 발사가 예정된 가운데 미국 주도 달탐사 연합체인 아르테미스 임무 참여에 대한 추가 논의가 이뤄져 기업들이 참여할 기회로 이어질지도 관심이다. 누리호가 성공한데다 미국 민간 달착륙선(CLPS) 탑재체 사업에 한국천문연구원이 맡았기 때문에 협력 가능성은 충분하다.

우주산업에 대한 투자와 업계 분위기는 좋지만 미국 국제 무기 거래 규정(ITAR)처럼 외교, 국방 분야에서 해결해야 할 숙제도 있다. 또 항공우주청을 둘러싼 여러 갈등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

안형준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박사는 “우주산업이 국가우주개발에 중요한 부분이고, 전 세계적인 방향성에 따라 이뤄지고 있지만 우주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어느때보다 국가적 지혜를 모아야 할 때”라며 “산업을 진흥하기 위한 연구개발과 부처 활용 수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정부지배구조를 만들고,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어 우주경제로의 전환을 이뤄내야 한다”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