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정육점에서 갤럭시 놀이터로...매일 뉴요커 1천명 찾는 '삼성 837'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뉴욕(미국)=김승한 기자] [갤럭시 언팩 2022]

머니투데이

삼성 837 전경. /사진=삼성전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제품 구매 안사셔도 됩니다. 편하게 경험 하세요"

미국 뉴욕 맨해튼 미트패킹 지역에 위치한 삼성전자의 마케팅센터 '삼성 837'에서 만난 직원의 첫 마디다. 2016년 2월 개장해 하루 평균 1000여명이 방문하는 이곳은 IT와 문화·예술을 융합한 맨해튼의 새로운 핫플레이스로 자리 잡았다.

삼성 837의 콘셉트는 명확하다. 누구든지 와서 휴식을 취하거나 삼성의 최신 갤럭시 기기를 보고 만질 수 있다. 지갑을 열 일은 없다. 삼성전자는 제품 판매를 과감히 포기하고 소비자들에게 '경험'을 선사하는 데만 집중하고 있다. 제품 판매장을 겸하는 애플 스토어와는 다른 점이다.

머니투데이

삼성 837 옆에 남아 있는 정육점 흔적. /사진=김승한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11일 방문한 삼성 837은 맨하탄의 명소 첼시마켓에서 도보로 5분 떨어진 미트패킹(meat packing)에 위치해 있다. 이 지역은 명칭처럼 과거 도축장과 육류 가공업체들이 밀집한 장소였으나 2000년대 재개발이후 명품 상점, 식당 등이 밀려들면서 뉴욕의 새로운 명소로 탈바꿈했다. 삼성 837의 명칭은 마케팅센터의 주소지 '뉴욕 워싱턴가 837번지'에서 따온 것이다.

삼성 837은 독특한 외관부터 눈길을 사로잡는다. 기존 2층짜리 정육점을 증축해 만들어지다 보니 현대와 과거가 공존하는 특이한 디자인이 채택됐다. 지하 1층, 지상 6층으로 이뤄진 이 건물은 지하 1~2층만 삼성전자 제품 체험·전시관으로 사용된다. 나머지 3∼6층은 사무 용도 및 브리핑 장소로 활용된다.

머니투데이

/사진=삼성전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매장 입구에 들어서자 지하 1층부터 지상 2층까지 연결된 10m 높이의 대형 스크린이 눈에 들어왔다. 55인치 LED 디스플레이 96개를 이어붙여 제작한 것이다. 대형 스크린에선 다양한 영상이 실시간으로 떠올라 방문객들의 포토존으로 인기가 많다. 이곳에선 제품 출시와 공연, 요리, 패션쇼 등 이용자 체험형 마케팅 행사가 열린다.

입구와 가까운 쪽에는 스튜디오 부스가 위치해 있다. 이곳은 유튜브 크리에이터들이 삼성 제품 리뷰하고 체험하는 콘텐츠 제작 장소로 활용한다. 삼성 전문가들은 크리에이터가 양질의 콘텐츠를 만들 수 있도록 노하우를 전수한다.

머니투데이

로봇팔이 갤럭시Z플립4 비스포크 에디션을 커스터마이징하고 있다. /사진=김승한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또 한쪽에는 로봇팔이 갤럭시Z플립4 비스포크 에디션을 실시간으로 커스터마이징하는 공간도 마련돼 이목을 끈다. 삼성전자는 이번 갤럭시Z플립4 비스포크 에디션을 출시하는데,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는 색상 옵션 수는 총 75개다. 로봇팔은 이 다양한 색상을 무작위로 선별해 조립하는 시연을 한다.

2층에 올라서면 고객 경험의 콘셉트에 맞게 삼성전자의 다양한 제품이 전시돼 있다. 최근 공개된 갤럭시Z플립4와 갤럭시Z폴드4, 갤럭시워치5 등 갤럭시 신제품뿐만 아니라 TV, 냉장고 등 다양한 가전을 직접 경험할 수 있게 했다. 이 밖에도 홈오피스, 거실, 주방 등을 꾸며놓은 '커넥트+ 존'과 비스포크홈, 게이밍 체험 등 다양한 코너도 갖추고 있었다.

이곳에서 만난 삼성전자 북미법인 한 관계자는 "고객이 삼성 837에서 딱 세 가지만 갖고 가길 바란다"며 "삼성이 고객에게 많은 노력을 주고 있다는 인식과 삼성 제품 간의 무한한 연결성, 고객 중심 커스터마이징을 원 없이 느꼈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사진=삼성전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뉴욕(미국)=김승한 기자 winone@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