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몇초안에 빵 터지면 수익 45% 드림"…유튜브가 작심했다는데 [홍키자의 빅테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유튜브가 드디어 '광고 수익 지급' 카드를 꺼내 들었습니다. 1분 이내의 영상 콘텐츠인 '쇼츠'를 제작하는 크리에이터(창작자)에게 광고 수익을 지급하기로 한 겁니다. 목표 대상은? 당연 틱톡이죠. 숏폼 콘텐츠의 절대강자 자리를 완벽하게 내주기 전에, 숏폼 콘텐츠 전쟁에서 제대로 승부를 보겠다는 겁니다. 이미 1분 이상의 영상 콘텐츠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유튜브의 이번 승부수는 과연 먹힐까요?

◆ 광고 수익 45% 주겠다는 유튜브

매일경제

[매경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20일(현지시간) 유튜브는 온라인 간담회를 열었습니다. 이 자리서 2023년 초부터 '유튜브 쇼츠' 창작자들과 광고 수익을 공유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 광고 수익의 무려 절반에 가까운 45%를 창작자들에게 지급하겠다는 것이죠. 유튜브가 그동안 긴 형태의 콘텐츠나 생중계 라이브 콘텐츠로 성장해왔지만, 이제는 15초짜리 콘텐츠로 표현하려는 창작자들의 시도가 보편화됐다는 자각에 대대적인 창작자 지원에 나선 겁니다.

닐 모한 유튜브 최고제품책임자(CPO)는 "쇼츠를 만드는 모바일 퍼스트 제너레이션 크리에이터를 포함해 자신의 이야기를 하는 모든 크리에이터를 지원하고 싶다"고 강조했다.

유튜브는 그동안 짧은 영상 특성상 광고를 어느 자리에 배치할 수 있을지 고민이 컸습니다. 결론은 쇼츠 영상 사이에 삽입시킬 예정입니다. 특히 조회 수 비율에 따라 광고 수익을 배분할 계획이죠. 구독자가 1000명 이상이면서 90일간 쇼츠 조회 수 1000만건을 넘긴 크리에이터라면 광고 수익을 나눠 받을 수 있죠. 물론 '유튜브 파트너 프로그램(YPP)'에 가입해야 하고요.

광고 수익 뿐만 아니라 구독자로부터 직접 수익을 얻을 수 있는 방법들도 계속됩니다. 기존에 라이브 채팅창을 통해 제공됐던 '슈퍼 땡스(Super Thanks)' '슈퍼 챗(Super Chat)' 기능을 통해 구독자들이 해당 창작자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죠.

그렇다면 왜 유튜브는 짧은 영상 쇼츠에 대한 대대적 투자를 결정한걸까요? 쇼츠의 성장세가 남다르다는 판단을 한 겁니다. 유튜브에 따르면 쇼츠의 월간활성이용자수(MAU)는 전 세계적으로 15억명에 달합니다. 일간 조회 수도 300억건에 육박하죠. 2020년 9월 첫 출시됐지만, 쇼츠의 성장세가 매섭다고 판단해 '롱폼(긴 영상)'과 '라이브' 이외에도 숏폼도 강화하겠다는 겁니다.

유튜브 자체적으로 틱톡을 넘어설 수 있다는 계산이 섰을 겁니다. 이미 공개된 MAU로는 틱톡을 넘어섰습니다. 지난해 9월 틱톡은 MAU가 10억명이라고 밝힌 바 있거든요. 2016년 서비스를 시작한 틱톡이 5년 만에 MAU 10억명을 확보했는데, 2020년에 서비스를 시작한 유튜브 쇼츠가 3년이 채 되기도 전에 15억명을 돌파한 겁니다.

숫자가 나타나니, 더 많은 수익 배분으로 양질의 창작자를 유치하겠다는 생각이 섰다고 봐아죠. 유튜브 쇼츠에서 영상을 올리는 창작자들이 과연 유튜브만 이용할까요? 틱톡에도 올리고, 인스타그램의 릴스에도 올리잖아요. 짧은 영상 하나 만들어서 모든 플랫폼에 띄우는 게 당연한데, 틱톡에서 활동하는 콘텐츠 창작자들도 이번 기회에 더 많은 수익을 위해 유튜브로 넘어올 가능성도 있는 겁니다.

사실은 유튜브 입장에서 틱톡의 기세가 무섭기도 합니다. 최근 미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퓨리서치 조사에 따르면 소셜미디어 이용률 조사에서 틱톡이 유튜브를 바짝 뒤좇고 있다는 숫자가 나오고 있거든요. 유튜브가 95%로 가장 높은 비중을 나타냈고 틱톡이 67%로 바로 뒤를 이었죠.

구글의 내부 연구 조사에 따르면 18~24세의 연령층 이용자의 경우 40%에 가까운 이들이 맛집등을 찾을 때 구글 플랫폼 대신 틱톡이나 인스타그램을 이용한다는 결과가 나오기도 했죠. 유튜브의 영향력 확대를 위해서라도 숏폼 강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였을 겁니다.

◆ 멍 때리는 것 못참는 Z세대...숏폼 시대 열었다

매일경제

[사진 =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2020년 가수 지코의 '아무노래 챌린지'를 시작으로 각종 챌린지가 크게 유행하며, 숏폼 시대가 본격화됐습니다. 틱톡은 영상 제작과 공유가 쉽다는 장점 덕분에 Z세대(1997~2010년생)에게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죠.

Z세대는 '극단적으로 효율을 추구하는 세대'의 특성을 발휘하기 때문입니다. 짧은 시간에 핵심을 파악하고, 즉각적으로 즐거움을 얻고자 하는 경향이 있다는 겁니다. 짧은 영상에 대한 수요는 24시간 중 소위 '뜨는 시간'을 채우려는 이 세대의 습관에서 비롯한다는 얘기다.

한국인 최초로 틱톡에서 1억뷰 영상을 만들었던 인플루언서 넵킨스는 Z세대의 특성을 이 같은 맥락에서 설명합니다. 넵킨스는 "요새 Z세대들은 식당에 가서 메뉴를 주문하고 'SNS 타임'을 외칩니다. 메뉴를 기다리는 동안 자신의 SNS를 확인하고 각자 스마트폰을 만지작거리는 시간을 존중해주는 거예요." 그만큼 스마트폰을 늘 쥐고 있다는 겁니다.

넵킨스는 또 "Z세대는 태어나서 지금까지 단 한번도 손에서 스마트폰을 놓지 않았습니다. 잠들기 전 여유로운 시간에는 유튜브로 긴 영상을 보지만 화장실에 앉아 있는 동안 짧은 애매한 시간에 틱톡을 하는 식"이라고 설명했습니다. Z세대를 포함해 이후 미래세대까지 이 같은 트렌드가 보편화되고 더 가속화되겠죠.

사실 Z세대가 아니더라도 요즘같이 바쁜 사회를 사는 사람들 대부분이 짧은 시간 동안 재생되는 영상으로 머리를 식히는 일이 많잖아요.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에서 짧은 영상보다가 한 두시간 훌쩍 넘어가는 경우도 많죠. 이 때문에 긴 영상을 보는 것이 때때로 숨막히는 일도 많게 느껴집니다. 넷플릭스, 쿠팡플레이 등 수많은 OTT에서 결국 콘텐츠 하나를 고르지 못한 채, 유튜브에 접속하는 게 편할 때가 꽤 있습니다. 유튜브의 숏폼 승부수는 우리의 최근 일상을 되돌아보면 너무나 당연한 행보로 여겨집니다.

'홍키자의 빅테크'는 플랫폼, 테크, 유통, 이코노미와 관련된 각종 이슈 뒷얘기를 파헤칩니다.
지금 홍성용 기자의 기자페이지를 '구독'하시면 깊이가 다른 콘텐츠를 매주 만날 수 있습니다.


[홍성용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