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윤희영의 News English] 韓流, 방글라데시 지식인의 원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970년대 방한한 외국인에게 한국 청소년 문화(youth culture)가 어떻냐고 물었다. 한마디로 답했다. “양키 문화네요.” 더벅머리에 찢어진 청바지 입고(wear ripped jeans with a mop of hair) 팝송만 따라 부르는 세태가 염려스러웠던 때다. 일본은 불구대천의 원수(sworn enemy)라고 거품을 물면서 일제(日製)라면 사족을 못 쓰며(be mad for Japanese products) 왜색(倭色)을 따라 하는 족속도 많았다.

조선일보

/일러스트=최정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인구 1억7000만 명인 방글라데시의 한 지식인이 ‘한류: 문화 침공과 그 영향(Korean wave: A cultural aggression and its impact)’이라는 언론 기고문을 통해 젊은 세대에 대한 절박한 심경을 토로했다(pour out his heart of desperation). 간추린 내용은 이렇다.

“음악·드라마·영화에 이어 미용·패션, 심지어 ‘먹방’까지 한국의 다채로운 대중문화에 방글라데시 젊은이들도 탐닉하고 있다(indulge in them). 서양과 아시아 문화가 잘 버무려져 있는 데다, 자식에 대한 헌신(devotion to their children), 연로한 부모 모시기(taking care of their old parents), 형제·자매 사랑(sibling love) 등 가족 간 우애가 방글라데시인들의 정서와 비슷한 이유도 있다. K팝 주제와 가사(themes and lyrics)는 우정, 사랑, 어떤 암울함도 극복해 내겠다는 결의(determination to overcome the depression of any kind)로 차 있어 젊은이들 마음을 사로잡는다(sweep them off their feet).

한국 고유의 기풍(own ethos)에 서양적 요소들을 가미한 한류의 문화적 혼종성(cultural hybridity)은 세계화와 현지화를 결합하는 ‘glocalization’ 과정이어서 방글라데시 젊은이들도 동참하는 기분을 느끼는 듯하다. 문제는 한국 드라마·영화·노래에 너무 집착해(be obsessed with them) 우리 것들 대신에(in lieu of ours) 한류에만 매달린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K드라마 중 상당수는 인간 삶에 대한 비현실적 관점(unrealistic view of human life)을 재미로 삼아, 자칫 시청자들의 기대를 부추겨(augment viewers’ expectations) 불안과 우울증에 이르게 할 수도 있다고 지적한다.

젊은이들은 한국 아이돌 티셔츠, 배지, 반지, 가방, 장신구 등을 사기 위해 광분하고 있다(make frantic efforts). 여성들은 한국 화장품을 사서 바르느라, 남성들은 아이돌 패션을 따라 입느라 정신없다. 라면조차 국산은 외면하고(turn away from local products) 한국산만 선택한다(opt for the packet of Korean ramen).

한류는 언어적 영향까지 미치고 있다(have a lingual influence on our young generation). 여기저기서 ‘오빠’ ‘친구’가 들린다. 한국말 쓰는 것이 앞서가는 징표처럼 여겨진다. 고유 문화를 잊고 한류만 맹목적으로 따라가는(follow blindly) 숫자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지금 상태로라면 방글라데시는 결국 끔찍한 결과를 맞게(face horrific consequences in the long run) 될 것이다.”

[영문 참고자료 사이트]

https://moderndiplomacy.eu/2022/08/27/korean-wave-a-cultural-aggression-and-its-impact/

[윤희영 편집국 에디터]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