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8 (목)

추경호 "모든 정책 물가 안정에 초점…시장불안 일정부분 감내해야"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물가안정 없는 민생안정 없어, 정책 최우선"

"한은과 방향성 차이 없어, 오차없이 상황공유"

"장마 피할 방법 없어, 비오는 대로 소화해야"

"시장안정 미국과 긴밀소통, 다양한 정책 고민"

이데일리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리는 아시아개발은행(ADB) 연차총회에 참석하기 위해 28일 오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출국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종=이데일리 원다연 기자]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8일 “지금 정책의 우선순위는 무엇보다도 물가 안정”이라고 강조했다.

아시아개발은행(ADB) 연차총회에 참석하기 위해 필리핀으로 출국한 추경호 부총리는 현지에서 기자들을 만나 “환율, 금리 등 모든 거시정책과 미시정책이 지금 물가 안정 기조를 확고히 하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추 부총리는 그러면서 10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빅스텝(한번에 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을 시사하고 있는 한국은행과의 정책 엇박자 우려에 선을 그었다.

추 부총리는 “금리 수준 등은 전적으로 그쪽(한국은행)의 이야기라 내가 확정해서 얘기할 수 없는 입장이지만 중앙은행과 정책 스탠스에 일체 차이가 없다”며 “물가 안정이 민생 안정의 제일 첫걸음이고 물가 안정 없는 민생 안정은 있을 수 없다는 스탠스로 모든 정책을 물가 안정에 중점을 두고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공직생활을 하면서 중앙은행과 이렇게 소통이 잘 된 적이 있었나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방향성 세팅은 거의 오차없이 (함께) 고민하고 있다”며 “이창용 한은 총재와는 한치의 오차없이 상황을 공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경기 침체 우려와 관련해선 아직은 물가 안정에 더 무게를 둬야 할때란 입장이다. 추 부총리는 “현재 여러 상황을 볼때 아직까지는 물가안정에 우선을 둬야할때”라며 “지금은 우선 물가 안정시켜야 할 상황이고, 물가도 안정하고 경기 후퇴도 막아야 한다고 하면 스탠스가 꼬인다”고 했다.

그러면서 기존의 10월 물가 정점론에 대한 입장을 재확인했다. 추 부총리는 “환율 때문에 물가상승 압력이 있지 않겠지만 다른 요인들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으로 갈거라는 생각”이라며 “9월 또는 늦어도 10월 정점은 변함이 없고 다만 수준 자체는 조금 높은 수준에서 하향으로 가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글로벌 긴축 기조 강화와 ‘킹달러’ 현상에 따른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은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추 부총리는 “왜 외환시장이나 주식시장의 변동이 이렇게 심한데 바로 받쳐주거나 하지 않느냐 하는데 그거는 그렇게 해서 해결될 상황이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시장이 불안했던 과거의 위기 때 하고는 다른 양상이기 때문에 그렇게 해서(정부가 개입을 해도) 실효성도 없다”며 “다만 시장이 너무 한쪽에 심리적으로 불안해지면 불안이 불안을 확대 재생산하기 때문에 이런 부분에 대한 관리는 정부가 해야 한다”고 했다.

추 부총리는 “쉽게 말하면 장마가 확 오는데 장마를 안 오게 할 방법이 우리 힘으로는 없다. 이 기간은 일정 부분은 가야 된다”며 “비가 오면 비가 오는 대로 소화를 시켜야 되는데 이럴 때 정말 부실한 곳에서 축대가 무너지고 침수가 되고 이렇게 피해가 커지는 부분에서 국내적으로 할 수 있는 부분을 대응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한미 통화스와프 체결과 관련해선 필요시 다양한 유동성 공급장치가 가동될 수 있도록 미국과 협의를 지속한단 방침이다. 추 부총리는 “시장 안정과 관련해 미국과 정말 많은 대화를 하고 있고 어떻게 보면 통화스와프보다 더 다양한 조합을 찾을수 있는게 ‘필요할때 유동성 공급장치를 가동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시장에서 외환 수급이 문제가 되거나 정말 시장이 우려할 정도로 불안이 증폭되면 당연히 서로 협력 협조하게 돼있고, 그건 옐런 재무장관을 만났을 때도 확고히했다”며 “다만 어느 타이밍에 어떤 장치가 가동될 거냐는 시장 상황을 조금 봐야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