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6 (화)

이순신 ‘최후의 순간’ 담겼다…유성룡의 달력, 일본서 귀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환수된 경자년 대통력은 보물 ‘유성룡 종가 문적’에 포함된 대통력(아래 사진)의 남색 표지 대신, 유성룡이 직접 쓴 것으로 보이는 글이 표지로 가철돼있다. 이순신이 노량해전에서 사망하기 직전 모습을 담은 글로, 붉은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이 이순신을 일컫는 ‘여해’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순신(1545~1598) 장군 최후의 순간을 기록한 ‘유성룡 달력’이 일본에서 발견돼 국내로 돌아왔다.

문화재청과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 일본인 소장자로부터 사들여 24일 공개한 ‘유성룡비망기입대통력-경자’(柳成龍備忘記入大統曆-庚子)다. 대통력은 월일·절기를 적은 책력(冊曆)이다. 금속활자로 찍은, 오늘날 달력이다. 이순신 장군과 한양 건천동(서울 중구 인현동)에서 유년기를 같이 보낸 서애 유성룡(1542~1607)이 임진왜란이 끝난 2년 뒤인 1600년(경자년)에 사용하고 기록을 남긴 것으로 추정된다. A4 용지보다 조금 긴 가로·세로 20·30㎝ 크기, 표지를 포함해 16장 분량이다.

유성룡은 대통력의 여백에 빼곡히 메모를 적었다. 비가 왔다, 매우 더웠다, 밤에 꿈이 번거로웠다, 국화를 땄다, 모친이 변비를 앓았다…. 날짜별로 그날그날 있었던 일들을 기록했다.

이순신 최후에 관한 기록은 대통력의 표지에 적혀 있다. 원래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남색 표지는 떨어져 나가고 첫 장에 흘림체로 83자가 적혀 있다.

“전쟁하는 날에 직접 시석(矢石·화살과 돌)을 무릅쓰자, 부장(副將)들이 진두지휘하는 것을 만류하며 말하기를 ‘대장께서 스스로 가벼이 하시면 안 됩니다”는 문장이 보인다. 직접 전투지휘에 나선 이순신을 부하들이 말리는 장면이 선하다. 이어지는 문장이 결정적이다.

“직접 출전하여 전쟁을 독려하다가 이윽고 날아온 탄환을 맞고 전사하였다. 아아!” 마지막의 감탄사 ‘아아’의 한자어는 안타까움을 뜻하는 ‘오호(嗚呼)’로 표기돼 있다.

중앙일보

환수된 경자년 대통력은 보물 ‘유성룡 종가 문적’에 포함된 대통력. [사진 문화재청]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하단 일부가 훼손돼 달력의 아랫부분 3~5글자가 사라진 상태다. 충무공 이순신의 자(字·성인이 되면 받는 새 이름)인 ‘여해(汝諧)’가 적혀 있어 ‘대장’이 이순신임을 추정할 수 있다.

이순신 전문가인 노승석 여해연구소장은 “이순신 장군이 탄환을 맞고 쓰러졌다는 이야기는 유성룡이 남긴 『징비록』에도 나오지만, 출정 전에 부하들이 대장을 만류했다는 기록은 어디에도 없다. 처음 보는 내용”이라고 평했다. 또 “이순신의 전사는 유성룡에게 큰 사건이었고, 경자년 내내 대통력을 꺼내볼 때마다 보는 표지에 철해둘 정도의 의미였던 것으로 짐작된다”고 덧붙였다.

대통력에는 이밖에 정유재란 때 일본으로 끌려간 강항(1567∼1618)이 포로 생활을 마치고 1600년 돌아온 일 등 당대 상황을 알 수 있는 내용이 다수 포함돼 있다. 술을 빚을 때 물을 얼마나 넣어야 하는지 등 술 제조법도 적혀 있다. 파악된 술의 종류가 7∼8종이다.

대통력은 김문경 일본 교토대 명예교수가, 한 일본인 소장자가 2년 전 경매에서 사들인 사실을 지난 5월 문화재청과 문화재재단에 알리면서 존재가 확인됐다. 재단 측은 노승석 소장에게 자료 번역을 맡겼고, 두 달간 내용 검토 끝에 이순신 관련 기록임을 확인한 다음 3차례의 평가위원회를 거쳐 사들였다.

구입에는 복권 기금을 활용했다. 구입 금액은 공개하지 않았다.

‘유성룡 종가 문적(柳成龍 宗家 文籍)’은 현재 보물로 지정돼 있다. 대통력 6책이 포함돼 있지만, 경자년 기록은 새로운 것이다.

김정연 기자 kim.jeongyeo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